서해 잠정조치수역서 한중 해경 2시간 대치
중국, 거대 구조물 접근 막으며 민간인까지 동원
정부 “전방위 대응”…동북아 해상 긴장 고조

“중국이 왜 저기다 저런 걸 자꾸 세우는 거지?”, “구조물 크기 보고 진짜 깜짝 놀랐다”
서해 중간 수역에서 한국과 중국 해경이 2시간 넘게 대치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 시작은 지난달 26일, 한국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해양 점검을 위해 바다로 출항하면서였다.
서해 PMZ서 일촉즉발… 中 해경·민간인 조사선 가로막아
목적지는 한국과 중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이다. 이곳은 양국이 공동으로 어업 자원을 관리하는 민감한 해역으로, 조업은 가능하지만 그 외 활동은 제한돼 있어 긴장이 늘 상존하는 지역이다.
정부는 이번 조사가 합법적인 점검 차원이라며 미리 해경과도 협조를 요청한 상태였다. 그러나 현장에 도착한 온누리호가 중국이 설치한 철골 구조물 1km 거리까지 접근하자, 상황이 급변했다.

중국 해경이 곧장 출동했고, 고무보트를 타고 접근한 중국 민간인들까지 조사선 앞을 가로막았다. 일부 민간인은 작업용 칼을 지닌 것으로 파악됐지만, 다행히 충돌로 이어지진 않았다.
이에 한국 해경도 즉각 대응에 나섰고, 해상에서 양국 해경의 긴장이 고조되며 2시간 넘는 신경전이 이어졌다.
“양식장” 주장한 중국…거대한 해상 구조물, 진짜 용도는?
중국 측은 해당 구조물이 어업용 양식장이라며 더 이상의 접근을 막았다. 반면 한국은 구조물의 정확한 용도와 설치 목적이 불분명한 만큼, 조사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 구조물들이 이동식이라고는 하나, 직경과 높이가 수십 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구조물이라는 점에서 의혹은 더욱 짙어지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4월과 5월 사이에 두 개의 구조물을 설치한 데 이어, 올해 초 추가로 하나를 더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이 이 지역에 사실상의 거점을 확보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바다 위에 구조물을 세우고, 그것을 토대로 자국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민간 앞세운 중국, 서해 긴장 고조…정부 “전방위 대응”
현장 조사는 결국 무산됐지만, 정부는 사태를 가볍게 넘기지 않았다. 외교부는 주한 중국대사관 관계자를 불러 항의의 뜻을 전달했고, 해양 권익을 지키기 위한 전방위적 대응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문제는 이번 사건이 단발성 해프닝으로 보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이 해당 수역에 구조물을 지속적으로 설치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에도 유사한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민간인을 앞세운 방식은 예측을 어렵게 만들며, 자칫 물리적 충돌로 이어질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대응 수위를 조절할지, 그리고 중국이 어떤 추가 행동에 나설지에 따라 향후 동북아 해상 질서에 적잖은 파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의 향방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긴장감이 감도는 서해, 그 귀추가 주목된다.
친중좌파 제명이가 정권잡으면 서해바다는
중국 짱게것이 되는건 시간문제다
저 아레 넘도 인간들 까지 짱게한테 넘어
갔으면 짱좋은데
전세계가 미국과 중국과 나뉘어 싸우는데 다 미국편에 줄 서는데. 우리나라만 정신못차리고 중국가서 쎄쎄하는 인간을 대통령처럼 생각하고 있으니… 나라꼴 잘 돌아간다.
대기업 반도체 아작나는건 시간문제구만 돈있는 사람은 해외로 다 빠져나가고 대한민국 평등사회 외치며 잘살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