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바로 옆 발전소 계획
아이들 건강권 침해 우려 폭발
교육청까지 강력 반대 목소리

“발전소 설치에 반대하는 학부모님들과 생각을 같이한다.”
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교육감의 이 한 마디가 나오기까지, 한 조용한 동네는 말 그대로 뒤집혔다.
화성시 진안동 일대 주민들이 발끈한 이유는 단순했다. 아이들이 다니는 초등학교 50미터 거리에 열병합발전소가 들어선다는 소식 때문이었다.
50미터 거리의 충격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시행하는 경기 화성시 ‘화성진안 공공주택지구’에 예정된 열병합발전소 건립 계획이 지역 사회를 뒤흔들고 있다. 문제의 발전소 부지는 화성반월초등학교와 불과 50미터 거리에 위치한다.

LH는 진안동과 반정동, 반월동, 기산동, 병점동 일원에 약 435만㎡ 규모로 조성되는 3기 신도시 화성진안 공공주택지구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지난해 2월 지구 지정 이후 올해 2월 국토교통부에 지구계획 승인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지구 남동쪽 대규모 주거시설과 화성반월초등학교 인근에 열병합발전소를 배치한다는 계획이 알려지자 주민들과 학부모들의 거센 반발이 일었다. 주민들은 “아이들 건강이 걱정된다”며 “왜 하필 학교 옆에 발전소를 지으려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육청의 이례적 개입
상황이 심각해지자 경기도교육청이 직접 나섰다. 임태희 교육감은 최근 이한준 LH 사장과 전화 통화를 갖고 현재 계획된 위치가 아닌 다른 부지에 발전소를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사장은 통화에서 “알겠다.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 교육감은 이어 정명근 화성시장과도 통화해 도교육청이 시와 같은 입장임을 분명히 했다.
정 시장 역시 “발전소를 다른 곳으로 옮겨 지을 만한 시 소유 부지가 있는지 물색 중”이라고 화답했다. 임 교육감은 관할 교육지원청인 화성오산교육지원청에도 화성시와 협의해 대안을 찾아보라고 지시했다.
지난달 27일 화성반월초 학부모들과 만난 자리에서 임 교육감은 “중앙부처는 물론 도청, 시청, LH 등이 나서야 해결할 수 있는 일인 만큼 그동안 쌓아온 행정 경험을 통해 길을 안내하겠다”고 약속했다.
소통 부재가 키운 갈등
이번 논란의 핵심은 주민들과의 소통 부족에 있다. 화성시와 지역 주민들은 LH가 충분한 협의 없이 사업을 일방적으로 추진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기반시설인 발전소 건립에는 주민 수용성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사전 의견 수렴 과정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화성시는 발전소 설치가 시민 건강권과 쾌적한 주거·학습환경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하며, 어떤 이유로도 현 위치에는 발전소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교육환경과 안전 문제도 큰 쟁점이다. 경기도교육청은 발전소가 학생 안전과 교육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주거지역과 교육시설이 밀집한 지역에 발전소를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현재 화성시와 경기도교육청, 그리고 지역 주민들은 LH가 발전소 위치를 재검토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LH 측의 최종 결정에 따라 이 갈등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에 민주당에서 수원비행기장 화성에다 옮긴다고하더니 이번엔 ㅠ 도대체 민주당은 화성시를 왜그리 하시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