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발표된 ‘대왕고래’ 경제성 떨어져
정부, 기존 2개 광구를 4개로 분할
글로벌 투자유치로 새 활로 모색

“대왕고래가 헛돔이었나…”
지난해 한국석유공사가 동해 심해에서 최대 140억 배럴의 가스·석유가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해 기대를 모았던 동해 가스전 개발 사업이 난관에 봉착했다.
다만 현재 정부는 경제성이 낮다는 첫 탐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첫 탐사 결과에 따른 전략 수정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해저광물자원개발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한국석유공사가 요청한 조광구 분할안을 확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기존 동해 심해의 6-1광구와 8광구에 설정되어 있던 2개의 조광구가 4개로 분할되며, 정부는 이달 말부터 이 4개 조광구에 대한 글로벌 투자유치 입찰을 시작할 방침이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아직 정부로부터 새로운 조광권을 접수받지 못한 상태”라며 “향후 입찰 과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지켜볼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조광구 분할은 올해 초 발생한 암초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보인다. 지난해 석유공사는 동해 심해 지역에 대한 물리탐사를 통해 ‘대왕고래’를 비롯한 7개 유망구조에서 상당량의 가스와 석유가 매장됐을 가능성을 발표했다.
그러나 올초 가장 유망하다고 여겨졌던 대왕고래 구조에서 진행한 첫 탐사·시추 결과, 경제성 있는 개발 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는 판단이 내려졌다.
새로운 투자유치 방식으로 전환

한국석유공사는 이에 대응하여 S&P글로벌의 자문을 받아 대왕고래 이외 지역의 유망 구조를 투자 유치하기 좋은 형태로 분할하겠다는 계획을 산업부에 요청했다.
이에 따라 새롭게 설정되는 4개의 조광구는 각각 물리탐사 진척 상황 등에 따라 특징과 성격이 다르게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동해 심해 가스전에 대한 투자 유치는 석유공사가 새로운 조광권을 부여받은 후 이를 기반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또한 석유공사는 해외 투자사들로부터 지분 비율과 탐사 계획 등을 제안받아 가장 적절한 투자사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국가 에너지 안보와 경제적 파급효과

한편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국내 천연가스 및 석유 공급원이 확보되어 에너지 안보와 가격 안정성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은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생산 가능한 자원이 늘어난다면 에너지 수급 안정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만약 글로벌 투자 유치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해외 자본과 기술이 유입되어 국내 기업과 연계된 일자리 창출, 기술 개발 등의 부가적인 경제 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강원도 및 동해안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첫 탐사 결과가 경제성이 낮다고 평가된 만큼, 추가 탐사 결과와 투자 유치의 성공 여부에 따라 기대했던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해저 자원 개발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는데, 시추 과정에서 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양 오염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철저한 환경 관리가 필수적이다.
좌파들, 때문에 하는일마다 브레이크
걸린다 제발 일좀하게 방해좀하지마라
시원시원하게 일할수 있도록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방해는 하지마라 경부고속도로
생각하고 좌파들은 인간부터되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