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만에 주문량 ‘폭발’ “배달시장 대격변 시작됐다”…사람들 ‘열광’하는 이유가

댓글 35

1인 가구 늘어도 배달은 여전히 ‘2인분’ 기준
배민, 최소주문 없는 ‘한그릇’ 서비스 본격화
혼밥도 부담 없이…배달의 미래는 ‘개인화’
1인 가구 배달 부담
출처: 연합뉴스

혼자 사는 직장인 김모씨. 퇴근 후 허기를 달래려 배달앱을 열었다.

따뜻한 밥 한 그릇이면 충분했지만, 화면에 뜬 최소 주문 금액은 20,000원. 배는 고픈데 딱히 먹고 싶지 않은 사이드 메뉴를 억지로 담아야 했다.

이런 고민을 하는 사람이 김씨만은 아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체 가구의 35.5%가 1인 가구다. 10가구 중 3.5가구가 혼자 산다는 뜻이다.

하지만 배달 시장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었다. 대부분 배달앱의 최소 주문 금액은 15,000원에서 20,000원 사이다.

1인 가구 배달 부담
출처: 연합뉴스

배달비 3,000원까지 더하면 혼자 먹을 한 끼에 2만 원 이상을 써야 한다. 음식을 남기거나 아예 주문을 포기하는 일이 반복됐다.

‘한그릇’이면 충분하다…배달 시장에 부는 1인분 혁신

이 틈새를 파고든 것이 배달의민족의 ‘한그릇’ 서비스다. 한 사람 분량만 파는 전용 카테고리를 만들어, 최소 주문 금액을 아예 없앴다.

메뉴 가격도 5,000원에서 12,000원 사이로 제한했다. 서울에서 시작한 이 서비스는 출시 2주 만에 주문량이 123% 급증했다. 등록 메뉴 수는 4배 늘었다.

변화의 신호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배달의민족은 다음 달부터 전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1인 가구 배달 부담
출처: 연합뉴스

대형 배달 플랫폼이 1인 가구만을 겨냥한 별도 카테고리를 운영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 서비스에 기능 하나 추가하는 수준이 아니라, 시장 전략 자체를 바꾼 것이다.

고령화·혼밥 시대…‘적당한 한 끼’가 기준 된다

한편, 1인 가구 증가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고령층 1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층에 진입하면서 독거노인이 급증하기 때문이다. 이들에게는 ‘많이’보다 ‘적당히’가 중요하다. 음식을 남기지 않고 딱 필요한 만큼만 주문할 수 있어야 한다.

소비 패턴도 달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더 많이, 더 저렴하게’가 합리적 소비였다면, 이제는 ‘딱 필요한 만큼, 낭비 없이’가 새로운 기준이다.

1인 가구 배달 부담
출처: 연합뉴스

배달의민족의 실험이 성공한다면, 다른 플랫폼들도 뒤따를 가능성이 높다. 1인 가구 전용 서비스 경쟁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뜻이다.

결국 배달 시장의 미래는 ‘개인화’에 달려 있다. 획일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선택지를 제공해야 한다.

혼자 사는 사람도, 대가족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배달의민족이 연 이 작은 틈이 업계 전체를 바꾸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35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5

  1. 예전같이 못하는 이유는 배달 플렛폼들이 수년에 걸쳐서 교묘하게 시장 자체를 자기네가 유리하게 바꿔놨기때문.. 돈 맛들린 라이더들이 기본 단거리에 5000원 도 부족하다고 징징거리는데 말 다했지

    응답
  2. 배달비로 업주한테 3000-4000원 부과하고 플랫폼 이용료 8프로 부과되면 1만원에 수수료만 5천원이다. 거기에 각종포장용기 인건비하면 식재료값이 나오겠냐. 배달의 민족의 횡포가 심하다.

    응답
  3. 그럼뭐해.. 최소배달비용해봣자 음식값이 1만원을 기본넘기는고만. 메뉴가격이 최소금액을 훨씬 상회한다는 말임.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