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가 현실로 “한국은 이제 끝?”…확 다른 옆나라, 어떤 상황인가 보니

댓글 64

中, 60개 대학서 양자컴퓨터 인재 양성
반도체·AI 등 핵심분야 인재 확보 총력전
한국은 ‘의대 쏠림’에 이공계 인재 고갈
한국
한국의 의대 쏠림 현상에 이공계 인재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 출처-연합뉴스

“인재 전쟁에서 밀리면 국가의 미래도 없다.”

중국이 미래 산업의 핵심인 양자컴퓨터 분야에서 대대적인 인재 확보에 나선 가운데, 한국은 의대 쏠림 현상으로 이공계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국가 경쟁력이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초격차 전략과 한국의 이공계 위기

Science and engineering shunning (2)
중국 칭화대 / 출처-연합뉴스

중국은 60여개 대학에서 양자컴퓨터 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2020년부터 대학 내 양자정보과학 전공 개설을 승인했으며, 현재 13개 대학에서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다.

또한, 칭화대는 2021년 튜링상 수상자인 야오치즈를 영입해 양자정보학 수업을 개설했다. 게다가 오는 16일에는 안후이성 허페이에서 양자컴퓨터 산학연 인재 심포지엄도 열릴 예정이다.

반면 한국은 심각한 이공계 기피 현상을 겪고 있다. 최근 10년간 약 30만 명의 이공계 인재가 해외로 떠났다. 특히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에서 인재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Science and engineering shunning (3)
심각한 이공계 기피 현상에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에서도 인재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 출처-연합뉴스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은 “기술의 근원적 경쟁력과 미래 준비의 부재가 위기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사에 뒤처지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의대공화국’의 그늘

Science and engineering shunning (4)
의사들의 높은 소득에 최상위권 학생들의 의대 진학 선호도는 계속해서 이어질 전망이다 / 출처-연합뉴스

한국의 이공계 인재 유출은 ‘의대공화국’ 현상과 맞물려 있다. 의사의 연평균 소득이 2억 3천만 원을 넘어서면서, 최상위권 학생들이 의대 진학을 선호하고 있다.

반면, 이공계 졸업자들은 취업난과 낮은 처우에 시달리고 있다. 이는 AI,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 산업 분야의 인력 부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공계 분야의 처우 개선과 연구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 산업계 관계자는 “의대 쏠림 현상이 지속되면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이 붕괴될 수 있다”며 “이공계 육성을 위한 범국가적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64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64

  1. 댓글 보소?
    국힘 거리고 있네…
    그럼, 넌 무슨일 하고, 넌 이걸 하고 넌 저걸 해라고 정해놓고, 그 자리서 그 일을 해야만 함?
    그렇게 일을 진행시키면, 잘 돌아갈거 같음?
    이공계 장려 정책은 보이지도 않지?

    응답
  2. 나라꼴좋타 중국 소수민족자청하는 민주당 반 정부를 자유민주를 사살하는데도 국민들은이완용나뿐놈이락카네 나라를중국에 통째로 넘기는 중이아닌가 싶다

    응답
  3. 돈도 없는 나라에서 인적 자원도 점점 줄어들고 정치권은 거짓말에 지랄발광 어쩌나 대한민국

    응답
  4. 뉴스에 내용이 부러울게 없다. 하고 싶어도 민주당의 딴지로 예산편성 부터 막혀 버리니 ㅇ

    응답
  5. 뉴스에 내용이 부러울게 없다. 하고 싶어도 민주당의 딴지로 예산편성 부터 막혀 버리니 어찌하랴?

    응답

관심 집중 콘텐츠

새만큼 인공태양 유치

“전북이 통째로 뒤집힌다”, “한국이 전력 독립국으로?”…’상상초월 파급효과’에 ‘깜짝’

더보기
HD현대마린솔루션 매출 대박

“이러다 한국산이 싹쓸이하겠네”… ‘바다 위 삼성’ 소문 나더니, 5,000억 “역대급 잭팟 터졌다”

더보기
삼성 유전자 편집 기술

반도체 잘하는 삼성 “이젠 ‘신의 영역’까지 도전?”…1회 ‘수억원’ 치료법, 정체 보니 ‘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