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로 날아올랐는데 ‘이게 웬일?’ “갑자기 싸해진 분위기”…현대차 ‘초비상’

트럼프, 일본엔 15% 한국엔 25%
국산 하이브리드, 도요타와 동가격에 관세까지
현지 생산 전환 불가피해져
현대차관세위기
현대자동차 사옥 /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일본과 유럽에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춰주면서 한국만 25% 관세 덫에 갇히게 되자, 현대차그룹이 미국 시장에서 심각한 가격 경쟁력 위기에 직면했다.

특히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대부분 한국에서 생산돼 수출되고 있어, 관세 폭탄이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전략을 근본적으로 뒤흔들고 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일본과의 협상에서 일본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당초 예고했던 25%에서 15%로 대폭 낮추기로 합의했다고 28일 완성차 업계가 전했다.

이어 27일 유럽연합과의 협상에서도 상호 관세율을 15%로 정하며, 한국만이 높은 관세 압박에 홀로 직면하게 됐다.

하이브리드 급성장이 오히려 발목 잡아

디 올 뉴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디 올 뉴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전기차 시장이 보조금 축소와 충전 인프라 한계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소비자들이 하이브리드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올해 상반기 현대차와 기아의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량은 13만6180대로 전년 대비 45.2% 급증했다. 같은 기간 전기차 판매가 28% 감소한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하지만 이런 성장세가 오히려 관세 폭탄의 직격탄이 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 대부분이 국내에서 생산돼 수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내연기관 모델은 상당수가 미국 현지에서 생산되지만, 인기 높은 대형 SUV 하이브리드는 모두 한국산이어서 관세 영향을 피할 수 없다.

현대차가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신형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도 차세대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관세 장벽 앞에서는 무력해질 전망이다.

도요타와 가격 격차 사라진 현대차

현대차 도요타 관세 부과 전후 가격 비교
현대차 도요타 관세 부과 전후 가격 비교 / 출처 : 동아일보

더 큰 문제는 현대차와 기아가 더 이상 저가로 승부할 수 없다는 점이다. 2010년대 초반까지는 현대차와 기아가 동급 일본 경쟁 모델보다 상당히 저렴한 가격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했지만,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제값 받기’ 전략으로 현재는 가격 차이가 거의 사라졌다.

준중형 SUV 시장을 보면 상황이 극명하다. 도요타 라브4가 4만2355달러, 혼다 CR-V가 4만2495달러인 반면, 현대차 투싼은 4만2970달러, 기아 스포티지는 4만5785달러로 일본차를 3000달러 이상 앞서고 있다.

중형 세단에서도 현대차 쏘나타와 기아 K5의 최상위 트림은 도요타 캠리, 혼다 어코드보다 비싸게 팔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25% 관세까지 더해지면 가격 경쟁에서 완전히 밀릴 수밖에 없다.

현지 생산 대전환 불가피한 현실

현대차 울산공장
현대차 울산공장 / 출처 : 현대차

현대차그룹은 이미 관세 충격을 몸으로 체감하고 있다. 올해 2분기 현대차는 8282억원, 기아는 7860억원의 영업이익을 잃었다. 합계 1조6142억원에 달하는 손실이다.

3분기부터는 분기 전체가 관세 영향을 받아 하반기 영업이익이 4조원 넘게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에 나섰다. 현대차는 200개가 넘는 부품의 현지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기아는 조지아 공장 생산 물량을 현지 시장에 우선 공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현재 두 회사의 미국 현지 부품 조달률은 48.6% 수준이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에서는 내년부터 하이브리드 생산이 시작될 예정이다. 하지만 본격적인 현지 생산 체제 구축까지는 최소 2~3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완성차 업계 한 관계자는 “관세가 영업이익에 직접 타격을 주는 만큼 현지 생산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국 자동차업계는 수출 중심에서 현지 생산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서둘러야 하는 기로에 서 있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

  1. 한국관세 협상이 완료디기도 전에 마치 관세율이 확정이 된 듯 가정하고 작성한 기사를 싣는건 설래발 아닐까 생각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