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방치된 노량진 유휴부지
수산 클러스터로 재탄생 예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대감 고조

“노량진이 서울 최고의 수산 중심지로 변신합니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지난 13일 세종정부청사에서 전격 발표한 ‘노량진 수산 클러스터’ 구축 계획은 지역 주민들에게 뜻밖의 희소식으로 다가왔다.
수년간 방치됐던 노량진 일대 유휴부지가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할 준비를 시작한 것이다.
중단됐던 사업, 새 옷 입고 부활

노량진 잔여 부지 개발은 그동안 숱한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수협중앙회는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옛 노량진수산시장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며, 약 4만8천231㎡(1만4천590평) 규모의 유휴부지에 공동 주택과 업무시설, 판매시설을 짓는 복합개발사업을 계획했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 침체로 2023년 사업이 중단되며 주민들의 기대는 실망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최근 임기 반환점을 돈 노동진 회장이 사업 재추진을 선언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그는 “서울시와 동작구가 노량진 잔여 부지 개발에 뚜렷한 지원 의사를 보였고, 부동산 시장 회복 신호도 확인됐다”며 재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수산업의 허브로 도약하는 노량진
이번에 발표된 계획의 핵심은 단순한 부동산 개발이 아닌 ‘수산 클러스터’ 구축이다.
수산 클러스터란 수산업 관련 기업, 연구소, 대학 등 다양한 주체들이 한 지역에 모여 생산부터 가공, 유통, 연구개발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산업 생태계를 말한다.

노 회장은 “대형유통업체의 참여를 유도하고, 해당 업체와 수산물 판매 협약을 체결해 국산 수산물 소비 기반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새로 지어질 복합시설과 노량진 시장을 연결하는 통로를 설치하고 연계형 할인 제도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수협중앙회는 공모를 통해 민간 공동개발사업자를 선정하고, 이후 프로젝트 회사를 설립해 개발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복합시설의 고도 제한 완화에 관해서는 서울시와 추후 논의할 것”이라고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덧붙였다.
수산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상당한 경제적 효과도 기대된다.
유사한 사례인 충남 당진 석문간척지 수산식품 클러스터의 경우 약 2,954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187억 원의 부가가치 창출, 1,700명 이상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 바 있다.

더불어 노 회장은 수산물 수출 증대를 위한 무역지원센터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무역지원센터는 수산물 수출 확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중동과 오세아니아, 남미 등으로 시장 개척을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계획이 단순한 부동산 개발을 넘어 수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클러스터 내 기업들 간의 협력과 경쟁을 통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등 산업 전반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역 주민들은 이 소식에 환영의 뜻을 표하고 있다. 오랫동안 방치된 부지가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일자리 창출과 지역 상권 활성화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다. 사업이 본격화되면 수산업의 생산, 가공, 유통, 연구개발, 인력양성 등이 한 곳에 모여 시너지를 발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노량진이 단순한 수산시장을 넘어 수산업 혁신의 중심지로 탈바꿈할 날이 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