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 남편을 떠나보낸 배우 전혜진이 27일 별세한 시아버지와 평소 매우 각별한 사이였음이 알려지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지난 27일 故 이선균의 부친이 노환으로 별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선균이 떠나간 지 3개월 만에 시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난 것이어서 전혜진을 향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평소 전혜진은 시아버지와 친딸처럼 가까운 사이였다고 한다. 과거 한 방송에서 이선균이 그런 전혜진을 향해 고마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선균은 생전 “아버지와 나 사이의 교류를 아내(전혜진)가 대신 해준다”며 “아버지가 나보다 혜진이에게 더 자주 연락하고 밭일도 같이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방송에서 이선균은 힘겨웠던 어린 시절을 회상하기도 했다. 그는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나 예쁨받으며 자랐고, 유복한 유년기를 보냈지만, 아버지의 빚 보증과 함께 고등학교 때부터 가세가 기울었다고 전했다.
온 가족이 셋방살이를 하면서 힘들게 그 시절을 버텨냈다고 하며 그는 “사업이 어려워지자 아버지가 택시 운전을 시작하셨는데, 아버지가 운전하는 택시를 타게 될까 봐 걱정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아버지에 대해 “사실 아버지 같은 아빠가 되고 싶지는 않았다. 이 말을 들으면 아버지는 기분이 나쁘겠지만, 그 당시만 해도 아버지와 대화가 잘 되지 않았다”고 복잡한 심경을 드러냈다.
끝으로 그는 “아버지에 대해 몰랐던 부분을 혜진이를 통해 들었다. 기분이 참 묘했다”면서 “그 얘기를 들으니 아버지에게 미안하기도 하고 고맙기도 했다. 아내에게도 참 고맙다”고 고백했다.

이선균은 지난해 10월 마약 투약 혐의로 입건되어 경찰 수사를 받았다. 그러던 중 같은 해 12월 27일 서울 종로구 와룡공원 인근에 주차된 차량에서 숨진 채로 발견되었다.
이선균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대해 당시 여러 이야기가 나왔다. 경찰의 무리한 수사와 언론의 지나친 보도가 극단적 선택의 원인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그의 빈소에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배우 이정재, 정우성, 설경구, 조진웅, 김희선, 봉준호 감독, 방송인 신동엽 등이 찾아와 조의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