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단계부터 ‘무모한 도전’ 비판
페루까지 수출 가능성 활짝 열려
가격과 성능의 균형 ‘수출 경쟁력’

“도입 비용 낭비다”, “기술력이 부족하다”, “성공 가능성이 희박하다”
개발 초기에는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졌던 한국형 전투기 KF-21이 이제는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신의 한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페루를 포함한 남미 국가들까지 이 전투기에 관심을 보이며 수출 가능성이 활짝 열리는 모양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달 24일부터 27일까지 페루 리마에서 열린 제10회 국제 국방 및 재난 방지 기술 전시회(SITDEF)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에서 KAI는 KF-21을 비롯한 주력 제품을 선보이며 남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불가능에서 가능성으로 바뀐 KF-21

KF-21 사업은 시작부터 내우외환을 겪었다. 국방연구원(KIDA)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개발 비용이 너무 크고 성공 가능성이 불확실하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내놓았다. 국내 개발이 해외 구매보다 2배 이상 비용이 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이 독자적으로 전투기를 만들 수 있을 리가 없다”는 시선도 많았다. 기술력이 부족해 사업 타당성이 낮다는 평가와 함께, 국회와 기획재정부는 예산 삭감 압박까지 가했다.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KF-21은 4.5세대 전투기로 개발 방향을 설정하며 현실적인 접근을 취했다. 완벽한 스텔스 기능보다는 적정 수준의 저피탐성(RO)을 확보하고, 가격 경쟁력에 중점을 둔 전략이 결과적으로 성공으로 이어졌다.
글로벌 수출 길 넓히는 KF-21

남미 지역의 대표적인 방산 전시회인 SITDEF에서 KAI는 KF-21뿐만 아니라 FA-50, 소형무장헬기(LAH), 무인전투기(UCAV), 다목적무인기(AAP), 합성개구레이다(SAR) 위성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특히 KAI는 이번 전시회에서 페루 공군사령관 등 현지 정부 관계자들과 면담을 통해 수출 기회를 모색했다. KAI는 이미 지난해 9월 페루 정부에 KF-21을 전투기 도입 사업의 추가 후보 기종으로 제안한 바 있다.
KAI는 지난해 7월 FA-50과 KF-21 부품 물량 공동생산을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하며 페루를 거점으로 중남미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적정 기술로 만든 가격 경쟁력

KF-21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은 가격 대비 성능에서 비롯된다. KF-21은 1대당 약 900억-970억 원 수준으로, 프랑스의 라팔(1,300억-1,600억 원)이나 유럽의 타이푼(1,200억 원), 미국의 F-35(2,000억-2,700억 원)보다 훨씬 저렴하다.
5세대 전투기의 완벽한 스텔스 성능은 갖추지 못했지만, 최신 AESA 레이더, 다양한 무장 시스템, 데이터 링크, 전자전 장비 등 4.5세대 전투기로서는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한다. 또한 국산 부품 사용률이 높아 유지보수와 부품 수급이 용이하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이번 방산 전시회는 KF-21의 초기 개발 과정에서 쏟아졌던 비판과 우려가 얼마나 근거 없는 것이었는지를 증명하는 자리가 됐다. 당시 “기술력이 부족하다”, “경제성이 없다”는 지적은 이제 “한국 방산의 성공 사례”라는 평가로 바뀌고 있다.
KF-21은 향후 블록 3 업그레이드를 통한 스텔스 성능 강화, AI·로봇 기술 접목 등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도 열려 있다. 예산이 제한된 국가들에게 KF-21은 비용 효율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는 개발 초기의 ‘모험적 투자’가 결국 ‘신의 한수’로 돌아온 좋은 사례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이제 KF-21은 단순한 국내 방위산업 프로젝트를 넘어 글로벌 방산시장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국가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페루 수출이 성사된다면 중남미 전체로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수를 보냅니다
연구원들 노고에 감사를 드립니다
Kf 21 연구 관계자분은 최고
한국 정치 똥물.
아에 전장의 신 무인전투기의 카고디럭스+버전(UCAVCD+)인 적 RPG와 대공포와 기관총 참호에 숨은 소총수보병들 30~50Km 이상 고도에서 인공위성 어서만들어라 무인전투공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