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1년 늦추면 생계불안 17%↑
저소득 노인만 직격탄, 노동시장 내몰려
가족 지원 기대도 헛된 착각에 불과

“기초연금을 65세가 아닌 66세부터 지급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언뜻 보면 한 살 차이에 불과하지만, 그 1년은 일부 노인에겐 생계를 지탱하던 마지막 끈이 끊어지는 치명적 공백이 될 수 있다. 최근 연구는 이처럼 짧은 시차도 노인의 삶을 뒤흔들 수 있는 결정적 변수임을 보여준다.
“1년만 늦춰도 생계 위기”… 기초연금, 숫자 하나의 파장
호서대학교 김성욱 교수는 국민노후보장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기초연금 수급 시점을 최대 4년 늦춘 가상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결과는 충격적이다. 연금을 단 1년만 미뤄도 해당 연령대 노인 가구의 경제적 불안정성이 17% 가까이 치솟는다.

더 나아가 수급 시점을 4년 늦추면 그 수치는 64%에 육박한다. 이는 곧, 연금의 유무가 고령층의 생계를 결정짓는 핵심 축임을 보여준다.
특히 충격은 저소득층에 집중된다. 소득 하위 20% 노인 가구는 연금 수급이 4년 미뤄질 경우 불안정성이 46% 증가하는 반면, 상위 20%는 영향이 거의 없었다.
기초연금이 절대적 생계수단인 이들에게 정책 조정은 곧 삶의 위기인 셈이다.
“가족이 도와줄 거라 했지만”… 기대는 있었고, 증거는 없었다
그렇다면 연금이 늦춰졌을 때, 이 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다른 손길은 있을까? 가족의 지원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많지만, 이번 연구는 그 통념에도 제동을 건다.

자녀 등으로부터의 사적 이전소득은 실제로 거의 늘어나지 않았고, 오히려 줄어든 연금 액수가 가족 지원보다 1.5배가량 더 컸다. 즉, 연금 공백을 가족이 메운다는 건 기대에 불과했다.
더 큰 문제는 그다음이다. 연금이 끊긴 노인들은 결국 생계를 위해 노동시장으로 밀려난다. 하지만 이들이 다시 발 딛게 되는 곳은 정규직이 아닌, 불안정하고 저임금의 2차 노동시장이다.
일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일자리를 찾아 나서는 것이다. ‘노년의 노동’이 자율적 선택이 아니라, 구조적 강제인 이유다.
‘재정 효율화’라는 이름의 생존 절벽… 흔들리는 노년의 삶
정부는 기초연금 수급 연령 상향을 ‘재정 효율화’로 설명하지만, 실상은 고령층의 생계 구조를 통째로 뒤흔드는 중대한 개편이다. 재정을 아끼는 대신 누군가의 삶이 무너지는 것이라면, 그 선택은 과연 정당한가?

지금의 논의는 단순히 숫자 몇 개를 조정하는 문제가 아니다. 정책 결정 하나에 따라 수많은 노인들이 생계의 벼랑 끝으로 내몰릴 수 있다.
고령화가 가속되는 지금, 연금 제도는 더 정교하고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 생존이냐 절감이냐, 기준은 분명해야 하고 결정은 더 늦기 전에 내려야 한다.
70세이상ᆢ기초연금ᆢ생각합니다ᆢ
노인들의 죽음의 시간이 빨리 다가오는 시간이이구나
말도. 안되는소리지요
나도 현행이면 27년부터 탈수있을것 같은데 70세 이후로 미루는게 좋을듯합니다 우리나라가 자원부국도 아닌데정말심각합니다 이 빗 누가 값아요 정치인놈들 ㅠㅠ
눈먼 세금도독놈들만 막아도 국가재정 별문제없을듯
넉넉하신분들 말씀이지 진짜 없는분들은 미루어진1년이 10년같을것입니다
청년층 vs 노년층 지원 개인별 현실에 맞게 지원힌시길 바래봅니다
공짜로 없는돈 빚내서 생색내지말고 인좋아도 좋으니 양질의 노년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활력이넘치는 사회를 만드는게 적극적이고 생산적인 노인 복지정책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노년의 생계문제는 절박함을넘어 목숨이
위태로움으로 이여진다…
국가의 재정문제는 누구를 위한것인가..
그리고 누구를 위해야 하는것인가 ?
선택적 접근은 어떻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