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북한 열병식에서 재래식 전력 현대화 강조
- 드론 발사 차량과 길리슈트 병력 주목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경험 반영
북한은 최근 열병식에서 재래식 전력을 강화하고 드론 발사 차량을 선보였습니다.
- 천마-20 전차와 새로운 자주포 공개
- 드론 발사 차량은 파병 경험 반영
- 길리슈트 착용 병력의 증가
북한의 최신 열병식에서는 재래식 무기와 드론 발사 차량이 주요 포인트였습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얻은 경험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러시아의 군사 기술을 통해 재래식 전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에 대한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천마-20 전차는 하드킬 능동방어체계를 갖춤
- 신형 자주포는 155mm 구경 사용
- 드론 발사 차량은 군집 형태로 다수 드론 투입 가능
- 길리슈트 착용 병력은 은신과 위장 능력 강조
전차 등 재래식 전력의 현대화
드론 발사 차량으로 한국 위협
길리슈트를 입은 다수의 병력

노동당 창건 80주년을 맞아 개최한 북한의 이번 열병식에는 화성-20형 등의 미사일 못지않게 전차와 자주포, 드론 발사 차량 등 재래식 전력의 현대화도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북한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다수의 병력을 파병하며 실전 경험을 확보했으며 열병식에 등장한 재래식 무기는 이러한 실전 경험을 상당수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차와 자주포 등 재래식 전력 강화

현재 북한은 러시아의 군사 기술 지원을 통해 전략 무기 개발을 시도하면서 동시에 한국보다 크게 뒤처진 재래식 전력도 함께 보강하고 있다.
특히 이번 열병식에서는 ‘천마-20’ 전차가 등장했으며 북한 측 매체는 “막강한 공격력과 믿음직한 방호 체계를 갖춘 현대식 주력 땅크”라고 표현했다.
천마-20은 얼마 전까지 해외 군사 매체 등에서 천마-3로 불렸던 신형 전차이며 해당 전차에는 적의 대전차 무기를 요격할 수 있는 ‘하드킬’ 능동방어체계가 탑재되었다.
이를 두고 유용원 의원은 “북한군의 하드킬 개발이 우리보다 앞서 있다”는 평가를 남기기도 했으며 이 밖에도 북한은 소련식 자주포와 달리 155mm 구경을 사용하는 신형 자주포도 함께 공개하며 재래식 전력의 현대화를 알렸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북한의 재래식 무기 현대화, 위협적일까?
파병 경험을 활용한 드론 발사 차량

전차·자주포와 함께 이번 열병식에서 주목받은 또 다른 무기는 자폭 드론을 발사할 수 있는 차량이었다.
북한은 최근 들어 이스라엘과 러시아식 드론을 모방한 무기 개발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드론 발사 차량은 우크라이나 파병에서 얻은 경험과 기술 습득이 반영된 결과물로 보인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의 드론 발사 차량이 “러시아의 발사대 양식을 참고해 북한식으로 새롭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해당 드론 발사 차량은 완전 밀폐형 발사 셀 구조를 차용했는데 이는 이란이나 중국 측 발사대와도 유사한 요소가 있어 북한이 이들과 기술 교류를 진행했거나 특징을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드론 발사 차량은 기존의 단발형 자폭 드론에서 벗어나 군집 형태로 드론을 다수 투입할 수 있어 우리 군에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다.
💡 북한의 드론 발사 차량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북한의 드론 발사 차량은 최근 열병식에서 주목받은 무기 중 하나로, 이스라엘과 러시아식 드론을 모방하여 개발한 것으로 보입니다.
- 우크라이나 파병에서 얻은 경험을 반영
- 완전 밀폐형 발사 셀 구조 채택
- 군집 형태로 다수 드론 투입 가능
길리슈트로 무장한 다수의 북한군

이번 열병식에서는 길리슈트를 입은 다수의 북한군도 화제가 되었다. 길리슈트는 사수가 자신의 몸을 보호하고 은신하기 위해 나뭇잎 등의 자연물을 덮어 제작한 위장복이며 열병식에 등장한 이들은 적후산악활동부대종대와 새롭게 꾸려진 저격수종대로 알려졌다.
앞서 북한은 지난 4월과 8월에 길리슈트를 착용하고 훈련하는 군사들의 모습을 선전한 바 있으며 이번 열병식에서는 길리슈트를 입은 병력들의 규모가 한층 더 커진 모습이었다.
또한 국내 전문가들은 북한이 길리슈트를 입은 다수의 병력을 공개한 것이 우크라이나 파병의 교훈으로 보고 있다.
북한은 파병 초기 쿠르스크 개활지에서 제대로 된 은·엄폐나 위장 없이 무작정 돌격하다 상당한 피해를 입했으며 이에 북한이 길리슈트를 활용해 자신들의 위장 능력과 무장복을 새롭게 과시하려 한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