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성국 무기가 어쩌다가” …한국산 장갑차의 운명을 뒤바꿨다? 대체 어떤 무기길래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한국은 불곰 사업으로 BMP-3 장갑차를 도입했다.
  • BMP-3의 수상 주행 능력이 K-21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BMP-3는 여전히 KCTC 대항군 무기로 사용된다.

한국은 러시아로부터 다양한 무기를 도입한 불곰 사업을 통해 BMP-3 장갑차를 도입했다.

  • BMP-3는 뛰어난 화력과 수상 주행 능력을 갖추고 있다.
  • K-21 장갑차 개발에 BMP-3의 수상 주행 능력이 영향을 미쳤다.
  • 현재 BMP-3는 KCTC 대항군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

불곰 사업은 러시아가 한국에 차관을 현물로 상환한 사업으로, BMP-3 장갑차 도입이 포함되어 있었다.

BMP-3는 수상 주행 능력과 화력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로 인해 K-21 장갑차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 BMP-3 장갑차는 100mm 저압포와 30mm 기관포로 뛰어난 화력을 자랑한다.
  • K-21의 개발 초기에는 BMP-3와 유사한 수상 주행 속도를 목표로 했으나 최종적으로는 시속 약 6km로 결정되었다.
  • BMP-3는 부품 수급 문제로 현재 KCTC 대항군 무기로 전환되었다.
동구권의 베스트 셀러 장갑차
불곰 사업으로 한국도 도입
K-21 도하 능력에 많은 영향
BMP-3 장갑차
K-21 장갑차 /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의 무기 개발 역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사건 중 하나는 러시아로부터 다양한 무기를 도입했던 불곰 사업이 있다.

특히 한국은 K-2 전차 개발에 있어 T-80U를 분석해 중성자 차폐 라이너 기술을 적용했으며 여기에 한국군의 무기 개발에 많은 영향을 미친 또 다른 무기는 바로 BMP-3 장갑차다.

장갑차 중 최고의 화력을 보유

BMP-3 장갑차
BMP-3 장갑차 / 출처 : 연합뉴스

소련 시절 개발된 BMP-3 장갑차는 여러 공산권 국가에 수출되어 현재까지도 수많은 물량이 운용되고 있는 베스트 셀러 장갑차다.

특히 BMP-3는 100mm 저압포와 30mm 기관포를 탑재하여 동급의 장갑차 중에선 상대적으로 우수한 화력 체계를 갖추고 있다. 또한 BMP-3는 수상 주행 능력 측면에서 다른 장갑차보다 우수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반면 BMP-3의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내부 공간이 매우 협소할 뿐만 아니라 탑승한 보병이 하차할 때는 상부 해치를 열고 하차해야 하는데 이 때문에 보병의 하차 전투가 불편하다는 점이 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BMP-3 장갑차, 한국군에 적합한 선택이었을까?

불곰 사업을 통해 한국이 도입

BMP-3 장갑차
K-21 장갑차 /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 비 공산권 국가 중 최초로 BMP-3 장갑차를 도입한 나라였다. 이는 T-80U 전차 등과 마찬가지로 러시아가 한국에게 받은 차관을 현물로 대신 상환하는 불곰 사업의 일환이었다.

한국은 1차 불곰 사업을 통해 BMP-3 장갑차 33대를 적성 화기 연구 목적으로 도입하였다. 이후 한국 내에서 BMP-3의 특징과 성능을 분석해 본 결과 실전에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면서 한때 제3기갑여단에서 BMP-3를 운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부품 수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동류 전환으로 장갑차를 정비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구동 가능한 남은 물량을 KCTC의 대항군 무기로 전환해 운용하고 있다.

💡 불곰 사업이란 무엇인가요?

불곰 사업은 러시아가 한국에 차관을 갚기 위해 다양한 무기를 현물로 제공한 사업입니다.

  • 이 사업을 통해 T-80U 전차와 BMP-3 장갑차 등이 도입되었습니다.
  • 한국의 무기 개발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K-21 개발에 적지 않은 영향

K-21 장갑차
K-21 장갑차 / 출처 : 연합뉴스

BMP-3는 수상 주행 능력에서 다른 장갑차와 차별화된 장점을 지니고 있었다. BMP-3는 수상에서 시속 약 12km의 최고 속도를 낼 수 있는데 이는 우리 군의 K-21 장갑차 개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 BMP-3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수상 주행 능력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를 K-21에 적용해 보려 시도했다.

이러한 이유로 K-21의 파도막이 형상은 BMP-3와 유사한 형태를 띠게 되었으며 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BMP-3와 유사한 수준의 수상 주행 속도를 작전 요구 성능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K-21 장갑차
K-21 장갑차 / 출처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다만 이후 개발 과정에서 K-21은 BMP-3와 달리 워터 제트를 탑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수상 주행 속도는 시속 약 6km 수준으로 결정되었다.

이외에도 K-21의 방어력 기준을 BMP-3의 30mm 기관포를 전면에서 막아낼 수 있도록 설정하는 등 BMP-3는 우리 군의 장갑차 개발에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BMP-3 장갑차, 한국군에 적합한 선택이었을까?
적합하다 67% 적합하지 않다 33% (총 3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