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명 중 1명이 앓고 있는데.. “봄철 비상 걸렸다”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까지

현대인의 만성 질환으로 자리 잡아
알아도 피하기 힘든 원인 물질
약물 복용 시 주의사항 필수
알레르기 비염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봄이 오면 재채기, 콧물이 나요”

봄철이 되면 코가 간질간질거렸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혹시 이러한 증상이 자주 나타났을 경우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신재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알레르기 비염은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봄철에는 특히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 조기 치료와 꾸준한 관리만이 고통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며 봄철 알레르기 비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알레르기 비염이란?

알레르기 비염은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반려동물 털 등에 우리 몸의 면역계가 과민하게 반응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알레르기 비염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인구의 약 15~20%가 이 질환을 앓고 있으며, 질병관리청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알레르기 비염 진단율은 2012년과 비교해 2022년에 4.4%나 증가했다.

알레르기 비염은 크게 통년성과 계절성으로 구분된다. 통년성 비염은 일 년 내내 코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지속되는 형태로, 주로 집먼지진드기와 같은 실내 알레르겐에 의해 발생한다.

반면 계절성 비염은 계절별로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봄철에는 꽃가루가 주된 원인으로 미세먼지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증상 방치한다면 합병증 위험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콧물, 코막힘, 재채기가 있다. 일반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급성 질환으로 보통 1~2주 내에 호전된다.

알레르기 비염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반면 알레르기 비염은 특정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수개월에서 수년간 증상이 지속될 수 있다.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만성 부비동염, 삼출성 중이염, 수면무호흡증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 치료의 기본은 원인 물질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만약 완전히 피하기 어려운 경우라면 약물요법을 활용할 수 있다.

부작용 조심하며 복용해야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은 항히스타민제이다. 이는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매개체인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알레르기 비염
출처:게티이미지뱅크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장거리 운전을 해야 될 때는 항히스타민제 복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항히스타민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이 졸음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이나 알코올과 함께 복용하면 졸음이 더욱 심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항히스타민제 복용 후에는 심박동 이상, 염증,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식약처는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 6세 미만 어린이는 항히스타민제 복용 전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상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체코 원전 수출

“16년 기다린 보람 터졌다”…철옹성 유럽 뚫고 ’26조 잭팟’ 안겨준 이 한국산, 정체가?

더보기
다이소 유통 시장 확장

싸다고 너도나도 갔는데…”정부, 결국 칼 빼드나?” 심상치 않은 분위기에 ‘설마’

더보기
특허청 현대 특허

한국인의 비상한 머리? “이런 나라 어디 없어요”…500년 만에 ‘깜짝’ 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