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치 않더니 “전쟁 불똥이 삼성까지 덮쳤다”…꼼짝없이 당한 상황, 어찌된 일?

댓글 2

5조 선박 계약, 전쟁 여파로 결국 파기
삼성, 선수금 반환 거부하고 맞소송 돌입
정치가 계약 흔드는 시대…리스크 재조명
삼성 러시아 계약 파기
출처 : 연합뉴스

러시아에서 불어온 바람이 결국 5조 원짜리 조선 계약을 뒤엎었다.

삼성중공업이 러시아 즈베즈다 조선소와 맺었던 대규모 선박 기자재 공급 계약을 공식 해지하며, 억 단위의 손해배상 소송에 돌입한 것이다.

양측의 계약 파기는 상거래를 둘러싼 흔한 갈등이라기보다는, 국제 정세가 불러온 복잡한 법적·경제적 분쟁의 서막처럼 보인다.

5조 원 선박 계약, 전쟁 한방에 뒤집혔다

시작은 순조롭고 기대감도 높았다. 삼성중공업은 2020년과 2021년 즈베즈다 조선소와 쇄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10척, 셔틀탱커 7척에 대한 선박 기자재 및 블록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 러시아 계약 파기
출처 : 연합뉴스

총 4조8천억 원이 넘는 초대형 수주였다. 하지만 전쟁은 계약서 위에 싸늘한 그늘을 드리웠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즈베즈다 조선소는 미국 등 서방의 제재 리스트에 올랐고, 선박 건조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지난해 즈베즈다 측이 먼저 계약 해지를 통보하며, 삼성에 이미 지급한 선수금 약 1조1천억 원과 이자까지 돌려달라고 요구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그러나 삼성중공업은 이 상황을 ‘일방적 파기’로 규정했다. 계약 해지를 인정할 수 없다며, 작년 7월 싱가포르 중재법원에 분쟁 조정을 신청했다.

동시에 협상 테이블도 유지했지만, 전쟁의 불씨는 식지 않았고 사업의 불확실성은 더 커졌다.

삼성 러시아 계약 파기
출처 : 연합뉴스

결국 삼성은 지난 18일, 자사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계약을 공식적으로 종료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고 발표했다. 선수금 반환도 보류한 채, 오히려 그보다 더 큰 손실을 메우기 위한 법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돈보다 무서운 건 신뢰…전쟁이 바꾼 계약의 룰

재미있는 건 이 와중에도 삼성중공업이 “우린 끄떡없다”는 입장을 내놨다는 점이다.

이번 계약 해지로 일부 수주잔고는 줄어들겠지만, 3월 말 기준 여전히 약 37조 원의 수주잔고를 확보하고 있어 당장 매출에 큰 타격은 없다는 설명이다.

한두 건의 악재에 흔들릴 만큼 얕은 수주 구조는 아니라는 자신감이 느껴진다.

삼성 러시아 계약 파기
출처 : 연합뉴스

하지만 문제는 돈보다 신뢰다. 러시아 측의 선불금 회수 요구와 삼성의 손해배상 청구가 맞물리며, 향후 국제 중재 결과에 따라 파장이 커질 수 있다.

‘계약’이 더는 상호 합의만으로 유지되지 않는 시대, 정치와 전쟁은 상거래의 변수이자 리스크가 되어가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계약 해제를 넘어선다. 글로벌 기업들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어떻게 감내하고, 어떤 전략으로 자신들의 권익을 지켜나갈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더 늦기 전에, 기업들도 정부도 외교적 분쟁이 현실이 된 시대에 걸맞은 리스크 관리 전략을 세워야 할 때다. 지금의 안일한 대처는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2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