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공룡 HMM, 본사 부산 이전 논의 본격화
물류비 절감·해양금융 등 지역경제 기대감
노사 갈등 속 정부 의지가 성패 가를 듯

우리나라 무역의 심장과도 같은 회사가 서울을 떠나 부산으로 본사를 옮긴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이는 단순히 한 회사의 이사 이야기가 아니다. 바다 위에서 거대한 컨테이너선을 움직여 대한민국 경제를 책임지는 ‘국가대표 수송선수’, 바로 HMM의 이야기다.
이 거대 기업의 부산 이전 문제는 대한민국 전체를 뜨겁게 달구는 가장 중요한 현안 중 하나로 떠올랐다.
물류비 절감부터 일자리 창출까지… 부산이 꿈꾸는 대반전
HMM은 대한민국 해운 산업 그 자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 매출 11조 원, 영업이익 3조 원을 넘어서는 이 거대 기업은 13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현금을 보유한 ‘해운 공룡’이다.
이러한 HMM이 서울의 심장부를 떠나 부산에 새로운 둥지를 튼다는 것은 산업 지형의 근본적인 재편을 의미한다.
부산연구원은 본사 이전이 가져올 직접적인 경제 효과만 약 4,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한다.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만약 HMM의 이전이 미래 성장 동력인 북극항로 개척과 맞물려 시너지를 낸다면, 연간 최대 2조 4,000억 원의 물류비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HMM이라는 강력한 구심점이 부산항과 직접 연결될 때, 수많은 협력업체가 자연스럽게 모여들고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된다.
또한, 선박 구매나 항만 개발에 필요한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는 해양금융과 같은 고부가가치 연관 산업이 함께 성장하며 도시의 산업 생태계 전체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기폭제가 될 것이다.
공공성 짙은 HMM, 정부 결정에 따라 움직이는 ‘거대한 선박’
정부의 정책적 의지 역시 이번 논의의 핵심 변수이다. HMM은 민간 기업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 등 공공 지분이 70%를 초과하는 공공적 성격이 매우 짙은 기업이다.
이는 정부의 전략적 판단이 기업의 향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라며 이전을 향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해왔다.

하지만 이 거대한 항해 앞에는 거친 파도도 존재한다. 바로 육상 노동조합의 강한 반발이다.
해상 노조는 부산 이전에 긍정적인 입장이지만, 사무직 중심의 육상 노조는 이를 “상장사의 경영 자율성을 침해하는 정치적 결정”이라 규정하며 격렬하게 저항하고 있다.
구성원들의 지지와 동의 없는 이전 추진은 심각한 내부 갈등을 유발하며 그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해외 영업 등 핵심 기능은 서울에 남기고, 나머지 조직을 부산으로 이전하는 단계적 분산안이 현실적인 타협점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HMM의 부산 이전은 이제 선택의 기로에 섰다. 이는 대한민국이 해운강국의 미래를 수도권 중심의 기존 질서 속에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부산이라는 해양수도에서 새로운 뿌리를 내리고 세계로 뻗어 나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국가적 결단이다.
앞으로 진행될 노사 간의 긴밀한 협의와 정부의 흔들림 없는 실행력이 이 거대한 전환의 성공 여부를 가를 것이다.
이거 만들자리에 야구장 만든다는데 어의가 없다
이거 옮기면 이재명아찌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