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활성화 기대했건만 “제주도가 어쩌다가”…반전 결과에 ‘화들짝’

댓글 13

설 연휴 기간 130만 명 넘는 인파 해외로
내수 소비 진작 위한 임시 공휴일 효과 미미할 전망
인천공항
길어진 설연휴 해외여행객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임시 공휴일 지정으로 연휴가 길어져서 해외로 여행 갈까 고민이 되네요”

지난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설 연휴 동안 약 130만 명이 국내 공항을 통해 해외로 떠날 예정이다.

이는 임시공휴일(1월 27일) 지정으로 설 연휴가 길어진 직장인들의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해외여행 증가로 역대급 설 연휴 항공 수요

인천공항
길어진 설연휴 해외여행객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이에 설 연휴 동안 인천공항에서만 104만여 명이 출국할 예정이며, 김해·김포 등 국내 주요 공항에서도 총 29만여 명이 해외로 향한다.

이는 지난해 설 연휴 대비 13.8% 증가한 수치로, 특히 1월 25일에는 출국자 수가 15만 3000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토교통부는 늘어난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운항 횟수를 7% 늘리고, 좌석도 421만 석으로 5.8% 확대한다고 밝혔다.

해외여행 특수 누리는 여행업계와 급등한 항공권 가격

인천공항
길어진 설연휴 해외여행객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이처럼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하면서 여행업계는 특수를 맞이했다. 한 여행사는 설 연휴 여행상품 예약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항공권 가격도 급등했다. 여행 플랫폼 스카이스캐너에 따르면 1월 24일 출발하는 도쿄 왕복 항공권이 100만 원을 넘었다고 전했다.

반면 국내 여행은 주춤할 전망이다.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설 연휴 기간 제주를 찾는 관광객은 약 20만 6000명으로, 지난해보다 9.6%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긴 연휴 기간과 해외여행 선호가 맞물리면서 국내 여행 수요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국내 소비재 업계의 위기와 소비 진작 효과 미미

인천공항
길어진 설연휴 해외여행객 증가 / 출처 : 연합뉴스

이렇듯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인해 설 연휴 특수를 기대했던 국내 소비재 업계는 울상을 짓고 있다.

특히 아웃렛 등 대형 매장들은 연휴 동안 매출을 끌어올리려 했지만, 연휴를 활용해 해외로 떠나는 소비자들이 많아 실적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해외여행을 택하지 않은 사람들도 집에서 쉬겠다는 의견이 많아 이번 임시공휴일 지정이 내수 소비 진작에 큰 효과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정부의 임시 공휴일 지정으로 길어진 설 연휴 탓에 오히려 내수가 더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3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3

  1. 제주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유명 관광지
    마다 바가지 요금에 너무 비싸니까
    열받아서 전부 해외로 내가사는 광안리
    만 해도 일반 횟집 배로 비싸게 받아요

    응답
  2. 국내 바가지 요금에 볼거리도 없으니 당연한 결과 아닌가요 동남아 가면 제주 비용으로도 충당 되는데

    응답
  3. 싼곳도 많은데 꼭 비싼곳만 찾아가놓곤 바가지네모네 광고빨로 유명해진곳은 광고비 회수하려면 당연한거 아닌가?? 그렇다고 해외는 아닌가? 해외가서도 바가지 쓰고 오면서 제주만 비싸네 바가지네 ㅡㅡ^ 오지마라

    응답
  4. 쉬면 쉬랬다고, 일 하라면 일 시켰다고 ㅈㄹ
    누가 시켰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딴걸 기사라고 쓴 넘도 참 안됐다

    응답
  5. 제주 와 테안반도 강원도 등좋은 곳 많잉ㅣㅆ지만 현지인의 정신상태 와정치꾼의이권으로 구역질나는관광지 우리의실테 아닌가? 불친절~바가지상혼

    응답
  6. 제주도가면 바기지써서 안간다 중국애들만 대우하는곳 제주도 언제부터 제주도가 중국나라가 되었나 한심하다

    응답
  7. 지사라는자가 대놓고 여야 대립 정치 언급하는데 반대성향 국민들은 오고 싶겠냐? 제주지사를 탄핵시켜야한다

    응답

관심 집중 콘텐츠

서해 중간 수역

“결국 중국이 포위하듯”…15시간 내내 ‘숨막히는’ 대치, “일촉즉발 상황”에 韓 ‘발칵’

더보기
어업 지원 사업

나라서 ‘수억원’ 풀어도 “젊은이들은 안 해요”…60대 이상만 ‘바글바글’ 몰렸다

더보기
할로윈 코스튬 독성

할로윈 코앞인데 “중국서 쏟아지더니”…아이 몸 ‘스멀스멀’ 파고들었다 “초비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