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한전, 부채 200조에도 억대 연봉 증가
- 직원 수는 줄고 성과급은 유지
- 조직 활력 약화 및 세대 단절 문제
한국전력공사는 엄청난 부채에도 불구하고 억대 연봉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조직의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
- 2024년 억대 연봉자 비율은 22.1%로 증가
- 직원 수는 감소, 신입 채용도 줄어
- 공공기관 운영법에 따른 성과급은 지속
- 조직 활력 저하 및 세대 단절 심화
한국전력공사는 현재 200조 원 이상의 부채를 지니고 있지만, 억대 연봉자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조직 내부의 구조적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억대 연봉자 비율은 12.7%에서 22.1%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직원 수는 감소했다. 성과급은 공공기관 운영법에 따라 흑자 여부와 상관없이 지급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2024년 억대 연봉자 비율 22.1%
- 직원 수 23000명대에서 22000명대로 감소
- 연간 성과급 지급, 경영실적평가 결과에 따라
- 신입 채용 감소로 세대 단절 문제
- 조직의 혁신 아이디어 감소 및 경직성 증가
부채 200조 한전, 억대 연봉자는 매년 증가
직원 줄고 성과급은 그대로…‘상식 밖 구조’
신입은 줄고 고연봉만 늘며 조직 활력 약화

한국전력공사가 200조 원이 넘는 부채를 안고 있으면서도 억대 연봉자는 매년 늘고 있다.
전기요금 인상으로 국민이 한숨을 쉬는 사이, 내부에선 고액 연봉 구조가 굳건히 자리 잡았다. 직원 수는 줄었는데 억대 연봉자는 오히려 늘어난, 이상한 그래프다.
직원은 줄고 억대 연봉자는 늘었다… ‘이상한 그래프’의 비밀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득구 의원에 따르면 2024년 한전 직원 중 억대 연봉자 비율은 22.1%. 2020년 12.7%에서 9.4%포인트 뛰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한전의 현재 보수체계는 적절할까?
인원은 2972명에서 4982명으로 약 2000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직원 수는 23000명대에서 22000명대로 줄었다. 신입 채용도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돈은 없는데 연봉은 늘어난다”는 말이 실감난다.

부채는 이미 한계치를 넘었다. 연결 기준 부채는 2020년 132조 5000억 원에서 2024년 205조 4000억 원으로 약 70조 원 늘었다.
별도 기준으로도 60조 원에서 120조 원으로 두 배다. 적자 속에서도 한전은 매년 성과급을 지급했다. 공공기관 운영법 제48조에 따라 ‘흑자 여부와 상관없이 경영실적평가 결과에 따라 지급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국민 눈높이에선 납득하기 어렵다. 강 의원은 “재무위기 상황에서도 고액 연봉과 성과급을 유지하는 건 상식 밖”이라며 “공공기관의 보상은 공익성과 재무건전성에 맞게 운영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한전의 억대 연봉자 증가와 부채 문제는 무슨 관계가 있나요?
한전의 부채 문제와 억대 연봉자 증가는 조직의 재무건전성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입니다.
- 억대 연봉자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경직된 조직 구조를 나타냅니다.
- 부채는 같은 기간 동안 급증했으며, 이는 한전의 경영 효율성과 공익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 성과급 제도는 성과와 무관하게 유지되고 있어 국민의 전기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과급 제도는 성과와 무관하게 작동하고, 내부 긴장감은 사라진다. 효율성보다 ‘관행’이 우선되는 구조다.
신입은 줄고 연봉만 는다… 한전 안에서 벌어지는 ‘조직 노화’

더 큰 문제는 세대 단절이다. 고액 연봉자는 대부분 장기근속자다. 신입이 줄면서 인건비는 중·장년층에 집중되고, 조직의 활력은 떨어진다.
혁신 아이디어는 줄고, 내부는 경직된다. 장기적으로 보면 재무 악화보다 더 치명적인 ‘조직 노화’가 진행되는 셈이다.
한전의 위기는 숫자가 아니라 신뢰의 문제다. 공기업이라면 최소한의 책임 의식이 필요하다.
하지만 부채는 늘고, 억대 연봉자는 늘며, 성과급은 끊이지 않는다. 그 결과는 결국 국민의 전기요금 인상으로 돌아온다.

이제 한전은 답해야 한다. 이 구조가 과연 지속 가능한가. 재무건전성을 무너뜨리면서까지 고액 연봉을 유지하는 게 공익에 부합하는가.
내부 보수체계와 성과급 구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전면 재검토하지 않는다면, 위기는 신뢰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더 늦기 전에 구조를 바로잡아야 한다. 지금의 안일한 대처는 결국 더 큰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