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해제에 거래 폭발한 서울 아파트
강남 중심으로 집값도 들썩였다
한 달 만에 다시 규제, 시장 급속 냉각

“이럴 줄 알았으면 조금만 더 기다리는 건데요.”
서울 강남구에서 신혼집을 마련한 30대 A씨는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직후 급하게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집값이 더 오를까 서둘러 계약했지만, 한 달 만에 규제가 다시 생기고 급매물까지 나오면서 분위기는 금세 식었다. A씨는 “그땐 너무 뜨거워서 안 사면 손해일 것 같았다”며 “조금 더 기다릴 걸 그랬다”고 말했다.
갑작스레 거래가 폭증하고, 일부 단지에서는 신고가 거래가 잇따랐다. 잠잠하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반년 만에 다시 꿈틀대기 시작한 것이다.
토지거래허가 해제에 ‘뚜껑 열린’ 강남…거래량·집값 급등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004건으로, 지난해 8월(6537건) 이후 처음으로 6000건을 넘겼다. 대출 규제 여파로 수개월간 3000건 안팎에 머물던 거래가 단숨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시장 반등의 방아쇠는 서울시가 지난 2월 13일 발표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였다. 이후 보름간(13~29일) 거래된 건수만 4410건으로, 전체 거래의 73%를 차지했다.
특히 규제가 풀린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송파구는 581건으로 서울에서 가장 많은 거래를 기록했고, 강남구(561건)와 서초구(351건)도 반년 만에 300건을 넘겼다. 강남구는 전월(198건) 대비 세 배 가까이 늘었다.

가격도 들썩였다. 3월 셋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0.25% 상승하며 28주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강남구(0.83%), 송파구(0.79%), 서초구(0.69%)의 상승률은 서울 평균을 훌쩍 웃돌았다. 일부 단지에서는 신고가 거래가 나왔다.
“불붙자 다시 조인다”‥서울시, 한 달 만에 규제 부활
하지만 훈풍은 오래가지 않았다. 서울시는 3월 초, 해제 한 달 만에 강남 3구와 용산구를 다시 규제구역으로 묶었다. 과열 조짐이 번지자 ‘속도 조절’에 나선 것이다.
규제 발표 직후 시장 분위기는 급변했다. 수억 원 낮춘 급매물이 등장했고, 매도자 중심이던 시장은 하루 만에 매수자 우위로 돌아섰다. 가격도 숨 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과거 사례를 봐도 규제 효과는 분명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 2년간 4456건이 거래됐던 잠실동은, 지정 이후 814건으로 80% 넘게 급감했다. 청담동(-61.4%), 대치동(-60.1%), 삼성동(-31.5%)도 거래가 뚝 끊겼다.
전문가들은 다시 규제가 시작된 만큼, 시장은 당분간 관망세로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고준석 연세대 특임교수는 “3월 거래량은 2월보다 줄어든 5000건 안팎이 될 것”이라며 “강남권 중심으로 거래 위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지금집값도 최고인데 더오를까봐샀다니 일본생각하세요. 집값떨어지고 투기꾼들 망하면 집값이 어찌됄지. 집값계속올라 국쳥이 100억 됄때까지 화이팅~투기꾼님들
아파트는 만지면 커지니 시장경제에 맡기고 내버려 두세요 결국 호시탐탐노리는 투기꾼의 장난에 놀아나는 이파트시장으로 변질될뿐이고 영끌족만 양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