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조금 종료 후 EV 시장 급랭, 생산라인까지 흔들
하이브리드가 공백 메우며 한국 시장 흐름도 바뀌는 중
북미 수출 둔화 땐 국내 제조·배터리 산업 전방위 타격 우려

미국발 ‘EV 한파’가 글로벌 자동차 업계를 강타하고 있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사라진 직후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단순한 판매 감소를 넘어 생산 라인이 멈춰 서고 현장에서는 ‘줄해고’ 공포가 확산하는 등 충격파가 거세다.
전 세계적인 전기차 전환 열풍이 불과 1년 만에 급격히 식으면서, 자동차 업계 전체가 전략의 대대적인 수정을 강요받고 있다.
미국발 전기차 급랭…생산라인까지 멈춘 ‘셧다운의 충격’
미국 시장의 ‘셧다운’ 분위기는 보조금 종료와 동시에 시작됐다. 하루아침에 가격 경쟁력을 잃은 전기차에 소비자들이 등을 돌린 것이다.

이 여파는 즉각 생산 현장을 덮쳤다. 미국의 여러 자동차 회사가 투자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고 생산 목표를 줄줄이 하향 조정했다. 일부 공장에서는 이미 감원 계획이 현실화되며 현장에 칼바람이 불고 있다.
한때 시장을 뒤흔들던 ‘전기차 올인’ 전략이 부메랑이 되자, 업계는 생존을 위한 방향 전환에 나섰다.
테슬라가 가격을 파격적으로 낮춘 보급형 모델로 반전을 꾀하는 사이, 기존 제조사들은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같은 ‘익숙한 기술’로 급히 무게 중심을 옮기는 모습이다.
이 냉기는 보조금이 유지되는 한국 시장에도 그대로 전해지고 있다. 충전 인프라 부족, 중고차 가치 하락 등 현실적 장벽이 부각되며 전기차 성장세는 뚜렷하게 꺾였다.

그 빈자리를 하이브리드가 빠르게 차지하며 ‘조용한 대세’로 자리 잡았다. 현대차 울산 공장의 전기차 라인이 일시 가동 중단에 들어가거나 속도를 낮추는 등, 국내 생산 현장도 글로벌 수요 충격에 맞춰 긴축에 들어갔다.
북미 수출길 흔들리면…국내 생산·고용까지 번지는 ‘충격파’
더 큰 문제는 ‘미국발 쇼크’가 장기화될 경우다. 북미 수출길이 막히면 한국 자동차 업계의 타격은 불가피하며, 이는 국내 생산 일정과 고용에도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온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완성차 업체의 계획 축소가 이어질 경우, 막대한 투자 계획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신중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의 변화는 일시적 현상이라기보다, 그간 누적된 시장의 기대와 ‘냉혹한 현실’ 사이의 간극이 터져 나오는 과정으로 풀이된다. 숨 가쁘게 돌아가던 전 세계 EV 전환에 사실상 ‘급제동’이 걸린 셈이다.

업계는 당장의 위기에 대응하는 동시에 장기적인 생존 전략을 다시 짜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몰렸다. 글로벌 시장의 향방과 한국 산업의 선택을 그 어느 때보다 면밀히 주시해야 할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