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파격 출산 지원 효과 ‘톡톡’
1억 지원·주거 혜택에 출생아 급증
혼인율·인구 증가까지 선순환 시작

“인천으로 가야 하나 고민이에요.”
서울에 사는 결혼 2년 차 직장인 김 모 씨(36)는 인천의 출산 지원 정책 기사를 보고 진지하게 이사를 고민 중이다. 내년에 출산 계획이 있지만 서울의 높은 주거비와 양육비 부담이 커 막연한 걱정뿐이었다.
김 씨는 “1억 지원에 주거 혜택까지 있다니 정말 매력적”이라며 “아내와 상의해서 진짜 인천행을 생각해봐야겠다”고 말했다.
인천시 출생아 수 11.6% 급증… 인구 증가까지 이어져
인천시가 파격적인 출산 지원 정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출생아 증가율을 기록했다. 저출산 문제로 전국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인천은 오히려 인구 증가라는 이례적 성과를 냈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 출생아 수는 1만5242명으로 전년 대비 11.6% 늘었다. 이는 2014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이며, 전국 평균(3.6%)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같은 기간 대구(7.5%), 서울(5.3%), 전남(5.1%)도 증가했지만 인천의 상승세에는 미치지 못했다.
출생아 수가 늘자 인천의 합계출산율도 0.69명에서 0.76명으로 올라 전국 평균(0.75명)을 넘어섰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생률 역시 4.6명에서 5.1명으로 늘며 전국 평균(4.7명)을 상회했다.
현금 지원부터 주거 혜택까지… 인천, 젊은 층 잡았다
이 같은 변화의 중심엔 지난해 도입된 ‘아이플러스 1억드림’ 정책이 있다. 정부 지원금에 시의 지원을 더해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총 1억 원을 지급하는 것이 핵심이다.

구체적으로 △임산부 교통비 50만 원 △17세 아동 매년 120만 원(천사지원금) △8~18세 청소년 매월 5만~15만 원(아이꿈수당)을 지급한다. 여기에 ‘천원주택’ 등 주거 지원도 더해져 젊은 층의 정착을 유도했다.
정책 효과는 출생아 증가뿐 아니라 인구 증가로 이어졌다.
인천은 지난해 전국 6대 광역시 중 유일하게 인구가 늘었으며, 주민등록초바인구도 전월 대비 4205명 증가한 302만7854명을 기록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인구 순이동률(0.9%) 역시 가장 높았다.
혼인 건수 증가라는 선순환도 나타났다. 지난해 인천의 혼인 건수는 1만3225건으로 전년보다 13.8% 늘었고,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5.2명으로 전국 평균과 같았다.
출산율 1위 인천, 맞벌이·자영업자 지원도 강화

소상공인 대상 출산 지원도 효과를 더했다. 시는 육아휴직에 따른 인력 공백 해소를 위해 대체인력 채용 지원금을 정부 지원금(월 120만 원)에 더해 월 30만 원(최대 3개월) 추가 지원한다.
또한 1인 소상공인이 출산하면 정부(150만 원)와 시(90만 원)가 총 240만 원을 지급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출생아 수가 지난해 5월부터 급증해 6월 이후 전국 1위를 유지하고 있다”며 “출산 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낸 결과”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