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특별사면이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정치적 양극화와 세대별 지지율 차이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 광복절 특별사면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은 56%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사면 대상에 대한 논란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부정 평가의 주된 이유로는 특별사면이 21%로 지목되었으며, 이는 민심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정치적 성향에 따라 지지율이 극명하게 갈렸으며, 중도층과 무당층의 지지율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광복절 특별사면 거센 후폭풍
취임 후 지지율 최저치 기록
부정 평가 이유 1위는 ‘사면’

‘국민 통합’을 내걸고 단행했던 광복절 특별사면이 오히려 이재명 대통령의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윤미향 전 의원 등이 포함된 사면을 두고 논란이 계속되면서,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치인 56%까지 떨어졌다. 민심의 날카로운 경고등이 켜진 것이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광복절 특별사면, 국민 통합에 역효과인가?
곤두박질친 지지율…최저치 경신
한국갤럽이 22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는 56%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주보다 3%포인트 하락한 수치이자, 취임 후 가장 낮은 기록이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35%로, 지난주에 비해 5%포인트나 급등하며 최저치와 최고치를 동시에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민심 등 돌린 결정적 이유, ‘특별사면’

민심이 돌아선 가장 큰 이유로는 단연 ‘광복절 특별사면’이 꼽혔다. 부정 평가를 내린 응답자의 21%가 바로 이 문제를 지적했다.
특별사면 논란이 2주 연속 부정 평가 이유 1위를 차지하면서, 이번 사면이 국정 동력에 심각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명백해졌다.
그 뒤를 이어 ‘과도한 복지·민생지원금‘(11%)과 ‘경제·민생’ 문제(11%)가 공동 2위에 올랐다.
특히 경제·민생 문제가 어렵다는 응답은 지난주보다 4%포인트 상승해, 민생 문제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외에도 ‘외교'(7%), ‘독재·독단'(6%), ‘정치 보복'(5%) 등이 부정 평가의 이유로 거론됐다.
물론 긍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15%), ‘소통'(9%), ‘추진력·실행력'(9%) 등이 꼽혔지만, 사면 논란이 이러한 긍정적 요인들을 모두 압도한 셈이다.
💡 광복절 특별사면이 왜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나요?
광복절 특별사면은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 통합을 목표로 단행한 정책이었습니다. 그러나 사면 대상에 포함된 인물들, 특히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윤미향 전 의원에 대한 논란이 컸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정부의 결정에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습니다.
- 사면 자체가 공정성과 투명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특정 인물들에 대한 사면이 정치적 목적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 결과적으로, 이러한 논란이 이재명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졌으며, 부정 평가의 주요 이유로 지적되었습니다.
극명하게 갈린 세대와 이념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 사회의 정치적 양극화를 다시 한번 여실히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91%)과 진보 성향(89%)에서는 압도적인 지지를 보낸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12%)과 보수 성향(26%)에서는 지지율이 극히 낮았다.
세대별로도 지지세가 엇갈렸다.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40대(72%)와 50대(67%)에서는 여전히 굳건한 지지를 확인했지만, 다른 연령대에서는 지지세가 평균을 밑돌았다.
국정 운영의 캐스팅보트를 쥔 중도층의 긍정 평가는 64%로 나타났으나,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에서는 32%에 그쳐 중도·무당층의 민심 이반 현상도 감지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