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타페 페이스리프트, 후면부 확 달라졌다
논란 많던 테일램프 지우고 라이트바 채택
실험 대신 완성도…글로벌 경쟁력 강화

스파이샷으로 위장막을 두른 채 테스트 중인 싼타페 페이스리프트가 포착되면서 예상도가 공개되자, 네티즌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댓글 반응은 “후면은 이제야 제대로 됐다”는 호평과 “전면은 여전히 실망스럽다”는 혹평이 동시에 쏟아지며, 찬반이 극명하게 갈리는 분위기다.
풀-폭 라이트바와 수직 모듈로 완성된 ‘신형 싼타페의 뒤태’
이번 변화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후면부다. 기존 모델이 독창성을 내세우며 채택했던 H자형 테일램프는 낮은 위치와 어색한 비율 때문에 꾸준히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방향지시등의 시인성까지 떨어진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디자인 전체의 발목을 잡았는데, 이번 페이스리프트에서는 결국 이 요소를 과감히 지워냈다.

현대차가 시장의 피드백을 정면으로 수용하며 보다 안정적이고 대중적인 스타일로 방향을 튼 셈이다.
새롭게 들어선 풀-폭(Full-width) 라이트바는 이미 그랜저, 쏘나타, 아이오닉 시리즈에서 성공을 거둔 현대차의 최신 시그니처다.
차체를 가로지르는 라이트바는 시각적으로 폭을 넓혀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미래지향적이고 고급스러운 인상을 만들어낸다.
여기에 수직형 모듈이 결합되면서 단조로운 직선 디자인에 입체감이 더해졌고, 방향지시등이나 후진등 같은 기능적 요소와 조화를 이루며 SUV 특유의 존재감을 강화했다.
실험 대신 완성도…현대차 디자인 전략의 전환점

하단 범퍼 역시 과거와는 확연히 달라졌다.
기존 싼타페가 넓은 플라스틱 클래딩으로 오프로더의 거친 이미지를 강조했다면, 신형은 블랙 하이그로시 디테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도시적인 세련미를 더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부분적인 수정을 넘어 현대차 디자인 전략의 전환점을 보여준다.
오랫동안 논란의 중심에 있던 후면부 디자인을 대중이 선호하는 안정적인 스타일로 바꿔 불필요한 잡음을 없앴고, 내연기관 SUV임에도 최신 전기차 라인업과 궤를 같이하는 패밀리룩을 적용해 브랜드 전체의 통일성을 강화했다.

동시에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 SUV 시장에서 쏘렌토, 하이랜더, 파일럿 등과 정면으로 맞붙을 수 있도록 디자인 경쟁력을 확보한 것이다.
결국 이번 싼타페 페이스리프트는 과거의 실험적인 시도를 정리하고, 보다 세련되고 완성도 높은 디자인으로 돌아온 현대차의 강력한 의지가 담긴 결과물이라 평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