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을 치고 후회했을 것”…4년 만에야 드러난 미국의 ‘최악의 전략적 실수’

댓글 1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미국, 바그람 공군기지 재확보 시도
  • 중국 견제 목적
  • 러시아·중국의 영향력 확대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의 바그람 공군기지를 재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 기지는 과거 미국의 군사력 핵심 거점이었습니다.
  • 현재 탈레반 통제 하에 있으며, 미국은 이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 합니다.
  •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 확대가 재확보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2021년 철수 이후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의 바그람 공군기지를 다시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기지는 과거 미국의 군사력 핵심 거점이었으며, 현재 탈레반의 통제 하에 있습니다.

  • 미국은 중국 견제를 목적으로 기지를 재확보하려 합니다.
  • 바그람은 중국 국경에서 약 800km 떨어져 있습니다.
  • 러시아는 탈레반을 공식 정부로 인정한 첫 국가입니다.
  • 중국도 탈레반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트럼프와 바이든 간의 책임 공방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바그람 공군기지 재확보 시도
러시아와 중국의 훼방 가능성
미국 내 아프간 철수 책임 공방
바그람 공군기지
미군 / 출처 : 연합뉴스

지난 2021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한 미국이 장장 4년 만에 다시 아프가니스탄 복귀를 노리고 있다.

최근 미 언론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이 노리고 있는 아프가니스탄 내 군사 기지는 바그람 공군기지로 알려졌으며 미국은 해당 기지를 기반으로 중국을 견제하려 한다.

뒤늦게 되찾으려는 공군 기지

바그람 공군기지
바그람 공군기지 / 출처 : 연합뉴스

바그람 공군기지는 지난 20여년간 아프가니스탄 내 미군 군사력의 핵심 거점이었다.

미국은 알카에다와 이를 지원하는 탈레반을 제압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군을 투입한 이후 바그람 공군기지를 거점을 운용해 왔다. 그러나 2021년 미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이후 바그람 공군기지는 탈레반 손에 넘어갔다.

그런데 최근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바그람 공군지를 되찾을 방법을 찾고 있다는 소식이 CNN 등을 통해 전해졌다. 미국이 다시 한번 바그람 공군기지를 손에 넣으려는 이유는 중국 견제 때문이다.

바그람 공군기지
바그람 공군기지 / 출처 : 연합뉴스

바그람에서 중국 국경까지는 약 800km 내외에 불과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한 인터뷰를 통해 “바그람 공군기지에서 중국이 핵무기를 만드는 곳까지는 1시간 정도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미국은 4년 만에 바그람 공군기지를 다시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

💡 미국이 바그람 공군기지를 다시 확보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미국은 바그람 공군기지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려 하고 있습니다.

  • 바그람은 과거 미국의 군사력 핵심 거점이었습니다.
  • 중국 국경과의 근접성 때문에 전략적 중요성이 큽니다.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 확대

바그람 공군기지
바그람 공군기지 / 출처 : 연합뉴스

현재 미국이 탈레반과 공식적으로 기지 통제권 이양을 놓고 접촉했는지는 불분명하다. 하지만 현재 아프가니스탄과 탈레반 정부는 러시아·중국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어 트럼프 행정부의 희망이 실현되는 것은 쉽지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

탈레반은 세계 각국에 자신들을 아프가니스탄의 공식 정부로 인정해 줄 것을 요구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다수의 국가는 탈레반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러시아는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탈레반을 정부로 공식 인정했으며 중국도 탈레반이 임명한 외교 대사를 받아들이며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미국의 바그람 공군기지 재확보, 가능할까?

이처럼 미국과 국제 사회의 주도권을 두고 경쟁을 벌이는 러시아·중국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미국이 바그람 공군기지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와 바이든의 책임 공방

바그람 공군기지
바그람 공군기지 / 출처 : 연합뉴스

트럼프 미 대통령은 바그람 공군기지와 관련해 조 바이든 행정부를 비판해 왔다. 그는 자신의 행정부 시절에 미군 철수를 진행했다면 바그람 기지에 소규모 병력을 주둔시켜 통제권을 유지했을 것이라 주장한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 철군 당시 카불 공항에서 자폭 테러가 발생해 미군과 민간인이 숨진 사고도 바이든 행정부의 실책이라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측은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맞선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시절 아프가니스탄에서 손을 떼기로 결정하고 2020년 2월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을 2021년 5월까지 철수하기로 탈레반과 합의했다.

이후 취임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트럼프 1기 행정부가 구체적인 실행 계획 없이 탈레반과 철군 합의를 진행했기 때문에 되레 운신 폭이 좁아졌다며 관련 문제의 원인을 트럼프 행정부가 제공했다고 주장해 왔다.

1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미국의 바그람 공군기지 재확보, 가능할까?
가능하다 36% 불가능하다 64% (총 11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