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전국 건물 44%가 30년 이상 노후 건축물
- 아파트 주거 면적 비중 65% 차지
- 지방 노후화율 47%로 수도권보다 심각
한국은 아파트 공화국으로 불릴 만큼 아파트가 많지만, 노후화 문제가 심각합니다.
- 전국 건물의 44%가 3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입니다.
- 아파트 면적은 전체 주거용 건물의 65%를 차지합니다.
- 지방의 노후화율이 수도권보다 더 높아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주거 환경은 빠르게 지어진 아파트들로 인해 노후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는 안전과 주거환경에 문제를 일으키며, 특히 지방에서는 인구 감소로 인해 노후화가 더 심각합니다.
- 전국적으로 44%의 건물이 30년 이상 돼 노후화 판정을 받았습니다.
- 아파트는 전체 주거용 건물 면적의 6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지방의 주거용 건물 노후화율은 56.9%로 수도권보다 높습니다.
- 노후화 문제는 구조적 안전성 저하, 에너지 효율 저하, 도시 슬럼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국토교통부는 노후 건축물 대책으로 임대주택 안전점검 및 정비사업을 추진합니다.
전국 건물 44%가 30년 넘은 노후 건축물
아파트 주거 면적 비중 65% 차지
지방 노후화율 47%로 수도권보다 심각

아파트 숲으로 뒤덮인 우리나라 주거 환경이 이제 노후화라는 또 다른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빠르게 지어 올렸던 건축물들이 이제는 노화의 징후를 보이며 안전과 주거환경 문제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인구 유출로 활력을 잃은 지방 도시들은 건축물 노후화가 더욱 심각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노후 아파트 대책, 마련해야 할까?
전국 건물 절반 가까이 ‘노후 건축물’… 아파트 면적 비중 65%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국내 건물의 44.4%는 사용 승인 이후 30년이 넘어 노후 판정을 받았다.

‘아파트 공화국’이란 별명이 무색하지 않게 우리나라 주거용 건축물 중 아파트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64.8%(12억 8천786만㎡)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단독주택 16.8%, 다가구주택 8.7%, 다세대주택 6.7%, 연립주택 2.3% 순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 기준 전국의 건축물 동수는 전년 대비 0.4% 증가한 742만 1천603동, 연면적은 2.1% 증가한 43억 1천498만 7천㎡로 조사됐다.
💡 노후 건축물은 왜 문제가 되는가?
노후 건축물은 안전성과 주거환경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안전성 저하로 인해 구조적 붕괴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에너지 효율이 떨어져 난방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단열, 방음, 방범 등 생활환경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지방 노후화 더 심각… 인구 감소가 주된 원인
이처럼 전국적으로 노후화 현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지역별로는 그 심각성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수도권의 노후 건물 비율이 37.7%인 반면, 지방은 47.1%로 약 10%포인트 더 높게 나타났다. 주거용 건물만 놓고 보면 격차는 더욱 커져 지방은 56.9%에 달하는 반면, 수도권은 45.2%에 그쳤다.
이러한 차이는 인구 감소와 지역경제 침체가 주된 원인이다. 젊은 층의 수도권 유입으로 지방의 노후화 속도가 빨라지고, 건설 수요 감소로 노후 건물 대체가 지연되고 있는 것이다.
시도별 건축물 특성을 보면 세종(85.3%), 광주(76.5%), 부산(74.5%)은 아파트 비율이 높은 반면, 전남(42.4%), 제주(35.2%), 경북(33.0%)은 단독주택 비율이 높아 지역별 주거 양상에도 차이를 보였다.
주거용 노후화가 가장 심각… 안전 우려 커

건축물 용도별로는 주거용 건물의 노후화가 가장 심각하다. 전국 노후 건축물 중 주거용이 53.8%로 가장 높고, 상업용 34.4%, 교육·사회용 26.4%, 공업용 21.0%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주거 환경의 안전성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가 크다. 특히 부산, 대구, 전남 등은 노후 주거용 건축물 비율이 60%를 넘어 가장 심각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구조적 안전성 저하와 안전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에너지 효율 저하로 난방비 부담이 커지며, 단열·방음·방범 등 생활환경이 악화될 것을 경고한다.
또한 빈집 증가에 따른 도시 슬럼화 현상도 가속화되어 주민 이탈, 인구 감소, 부동산 가치 하락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토교통부는 2025년 임대주택에 대한 집중안전점검과 건축물 안전관리 강화, 정밀 안전진단 활성화를 추진한다.
또한 지자체와 함께 전국 28곳에서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소규모주택정비법을 통한 빈집·노후주택 정비와 행정·기술지원도 병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