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북한, 신형 전차 천마-3 공개
- 성능은 아직 비공개
- 대량 생산까지 시간 필요
북한이 신형 전차 천마-3를 공개하며 전차 발전을 이어가고 있다.
- 천마-3는 이전의 천마-2보다 발전된 전차
- 125mm 주포와 강력한 엔진 장착 예상
- 대량 생산 체제 구축에는 시간 필요
북한은 2020년 이후 신형 전차 개발에 집중해 왔으며, 최근 천마-3를 발표했다. 이는 천마-2의 후속 모델로, 서방의 3세대 전차와 유사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천마-3는 아직 성능 지표가 공개되지 않았지만, 강력한 주포와 엔진을 장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대량 생산 체제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천마-3는 125mm 주포와 750-1,300마력의 엔진 장착 예상
- 하드킬 능동방어체계로 360도 대응 가능
- 대량 생산은 아직 초기 단계로 시간 필요
북한 신형 전차 개량형 포착
천마-2에 이은 천마-3 명명
대량 생산 체제는 시간 필요

지난 2020년 이후 신형 전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북한이 또 하나의 새로운 전차 이름을 공개해 해외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2020년도부터 발전한 북한 전차

북한의 천마-3를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주목해야 할 전차는 M-2020으로 알려졌던 천마-2 전차다. 북한은 지난 2020년 열병식에서 최신형 전차와 유사한 외형의 천마-2를 공개했다.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해당 전차는 공식적인 이름이 알려지지 않아 M-2020으로 불리다가 이후 천마-2라는 공식 이름이 확인되었으며 천마-2는 노후화된 기존의 북한 전차와 달리 3세대로 분류할 수 있는 전차였다.
이후 2024년에는 천마-2보다 한층 발전된 전차가 포착되어 서방으로부터 M-2024라는 임시 명칭으로 불리던 도중 이번 ‘국방 발전-2025’에서 천마-3라는 이름이 확인되며 북한 전차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을 엿볼 수 있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북한의 천마-3 전차 개발, 성공할까?
아직 베일에 싸인 전차의 성능

천마-3의 구체적인 성능 지표는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ARMY RECOGNITION 등 해외 군사 매체들은 천마-3가 125mm 2A46 계열의 주포를 장착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여기에 전차의 동력 체계는 750마력에서 1,300마력 사이의 출력을 내는 디젤 엔진이 탑재된 것으로 보이며 천마-2와 마찬가지로 ‘불새’ 계열의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했다.
불새 대전차 미사일은 오히려 북한의 신형 전차보다 우리 군의 기갑 전력을 위협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 대전차 미사일이다.
이 밖에도 해외 군 전문가들은 천마-3가 천마-2 대비 포탑 부분의 방호력을 개선하고 하드킬 능동방어체계를 활용해 적 미사일에 대한 360도 전방위 대응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는 등 서방의 3세대 전차와 유사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 천마-3 전차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요?
천마-3는 북한의 최신형 전차로, 서방의 3세대 전차와 유사한 성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125mm 2A46 계열 주포 장착 추정
- 750-1,300마력 사이의 디젤 엔진
- ‘불새’ 계열 대전차 미사일 장착
대량 양산까지는 많은 시간 필요

현재 해외 군사 매체들은 천마-3가 저율 생산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은 평안북도 일대에 전차 생산 공장을 집중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대대적인 확장 공사를 거쳤다.
이를 통해 북한은 전차 이외에도 다양한 기갑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추가 시설을 건설했으나 아직 천마-2의 대규모 생산 체제를 구축하지 못한 상황에서 천마-3까지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은 무리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이번 국방 발전-2025에 등장한 천마-3는 대외 선전을 위해 저율 생산한 물량 중 하나인 것으로 추정되며 북한이 노후화된 T-62 계열 전차를 모두 대체하기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국은 이미 K-1 전차 개량 사업을 통해 일선 부대에 K-1A2를 배치했으며 4차 양산을 통해 K-2 전차도 실전 배치하고 있어 당분간 우리 군의 기갑 전력 우세는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