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반토막 나더니 “주변 상권 마저”…완전히 바뀐 분위기, 어디길래?

댓글 7

천도론 거품 걷힌 세종 아파트 값
주변 상권 마저 ‘텅텅’
세종시
세종시 아파트 가격 급락 / 출처 : 연합뉴스

“아파트 가격이 1년 만에 이렇게까지 떨어질 줄 몰랐죠”

한때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에 급등했던 세종시 집값이 과거 상승분을 반납하며 거품을 걷어내고 있다.

천도론 이후 하락세…세종 집값 반토막

세종시
세종시 아파트 가격 급락 / 출처 : 연합뉴스

지난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세종시 아파트값은 평균 6.47% 하락해 전국 시군구 중 대구 서구(6.97%), 대구 남구(6.64%)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세종 집값은 2020년 천도론 기대감으로 42.37% 급등했지만 이후 △2021년 0.68% △2022년 16.74% △2023년 5.14% 등 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왔다.

특히 지난해 5월 최고가 14억 원(21층)에 거래됐던 대평동 해들 6단지 e편한세상세종리버파크 전용 99㎡는 지난달 7억2000만 원(11층)으로 반 토막이 났다.

외곽 지역도 마찬가지다. 조치원읍 자이 아파트 84㎡는 최고가(4억9500만 원) 대비 53% 하락한 2억3000만 원에 거래됐다. 한때 외지 투자자들이 몰려들었던 단지였던 만큼, 집값 급등기의 상승 폭을 그대로 반납하는 모양새다.

공실 문제 여전…활성화 대책 실효성은?

세종시
세종시 아파트 가격 급락 / 출처 : 연합뉴스

집값 하락과 함께 세종시의 상가 공실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다. 지난달 26일 방문한 나성동 일대에서는 ‘임대 문의’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 있었고,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이 있던 자리도 텅 비어 있었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세종시 중심상업지구 내 대형 상가들은 건립된 지 5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공실률이 40%에 달한다”며 “입점한 가게들도 계약이 끝나면 버티지 못하고 나가면서 공실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시는 그동안 상업용지 공급 조절 등의 정책을 통해 집합 상가 공실률을 15.8%까지 낮췄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을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최근 ‘상가 공실박람회’를 열고, 상업용지 용도 변경과 로컬 상권 활성화 등의 대책을 발표했지만 업계에서는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수요 중심 시장 전환…공무원 수요 주목

세종시
세종시 아파트 가격 급락 / 출처 : 연합뉴스

현재 세종 부동산 시장은 실수요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P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현재 매도자 대부분은 특별공급을 통해 주택을 매입한 1가구 2주택자”라며 “양도세 부담이나 전세금 반환 등의 이유로 매물을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매수자는 중앙부처 공무원이나 대전·청주 등 인근 지역의 실거주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세종 집값이 올 상반기 바닥을 다지고 점차 회복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은 “정국 불안이 해소되고 금리가 안정되면 세종 부동산 시장도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며 “올 하반기부터 점진적인 회복세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시장에서는 세종시가 하반기 집값 반등과 함께 상권 활성화까지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7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7

  1. 상가가 공실이 아니었던적이 있었나?
    집값 투기로 엄청 뻥튀기 되었으니 당연히 떨어지지ᆢ
    예전에 1억도 안하던 아파트가 지금 2억대를 찍고있으니ᆢ 떨어진것이 아니지ᆢ

    응답
  2. 세종시는3억도 비싸다! 유령도시
    과천하고 세종시가 집값이 올라간게 도저히 이해가안감..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