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찾는 관광객 수 10년 넘게 천만 명 대 정체
일본, 각 도시 별 다양한 관광 콘텐츠로 관광객 확보

“엔화가 싸서 제주도 갈 돈으로 일본으로 가게 되더라고요”, “한국은 한번 갔다오면 볼 게 없어요”
불과 10년 전만 해도 비슷했던 한국과 일본의 외국인 관광객 수가 지난해 극명한 차이를 내며 전혀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한·일 관광객 수 격차, 한국의 관광수지 악화

지난 31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633만 명에 그쳐 목표였던 2000만 명 달성에 실패했다.
반면, 일본은 엔저 효과 등에 힘입어 3687만 명의 외국인을 끌어들이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본은 내국인 출국자(1301만 명)보다 외국인 방문객이 훨씬 많았고, 관광객 소비액도 사상 처음 8조 엔을 돌파하며 한국과 대조적인 성과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은 882만 명으로 급증한 반면,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은 322만명으로 양국 간의 차이가 극명했다.
일본 관광산업 성장 vs 한국의 정체

이러한 차이가 생긴 이유로는 일본이 엔저 효과와 지역별 관광 콘텐츠 개발로 외국인 방문객 수를 크게 늘린 것이 주효했다고 평가된다.
한편, 방한 외국인은 10여년간 거의 정체된 반면, 내국인의 해외여행 수요는 지속 증가해 관광수지 적자가 심화됐다.
특히 관광수지는 역대 최악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해외로 출국한 한국인은 2869만 명으로 방한 외국인의 1.8배에 달했으며, 1~11월 관광수지 적자만 102억 달러로 이미 전년도 적자를 넘어섰다.
한국 관광산업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한국 관광산업은 수도권 집중, 부족한 지역 관광 콘텐츠, 낮은 외국인 재방문율 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의 77.2%가 서울을 방문한 반면, 부산(16.0%)과 제주(10.1%) 방문 비율은 낮았다. 일본은 지역별 특색 있는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했지만, 한국은 단순한 ‘포토 스폿’ 중심에 머물러 있다.
이에 따라 방한 외국인의 재방문율도 2019년 58.3%에서 2024년 54.2%로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관광 강국으로 도약하려면 지역별 특색 있는 관광 콘텐츠 개발과 외국인 편의 서비스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관광업계는 “K컬처 인기가 높은 지금이 관광산업 도약의 기회”라며, 인프라 정비와 글로벌 기준에 맞춘 서비스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나라가시끄러운데관광오겠냐 지네들말안들으면걈옥에처넣고 국해해산재선거 부정선거 파쇠가답 바른나라
한국은 너무 배가 불렀어요 다시 배고플때 됐어요
한국은 K열풍으로 너무 배가 불렀어요
다시 배고플때가 됐어요
물가 비싸 숙박비 바가지에 국내 안가지 바가지 많고 중국조선족 추방하고 무비자 중국조선족 없애고
청결 친절 바가지없기 또 가고싶고 보고싶은 꺼리를 개발하고 발전시키고 만들어놨으면 보수유지 관리도 철저히 해야지 만들어놓고 쓰레기자으로 변하면 안되잖아 그런곳이 한두군데인가
니뽄 가봤지만 온천말고는 딱히 감동스러운건없던데 먹을거리도 시원찮고 한국도 그만한 자연은 얼마든지있는데 개발을 못한듯
한국 덕구온천은 내가가본 온천중에 최고인데 너무낙후되있는것이 문제 안가본지 몇년되었는데 지금은 좋아졌을라나
대한민국 관광산업은 전략이 없고 마케팅도 없다. 외국에 가 보면 별 볼일 없는 관광지도 전략적인 마케팅에 의해 홍보가 되고, 그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한다. 대한민국 관광산업도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옛 것을 유지하면서 서비스 질을 높여야 하는데
다 뿌수고 안타깝다
우리나라는 장사치들이 너무 많아. 한철장사해서 평생먹고 살려고 하는것처럼 구니, 휴가에 내돈내고 스트레스받으면서 가고싶지 않다. 반면에 해외가면 가격에 맞는 서비스도 받고 표면상이라고만해도 친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