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벡에 첫 고속열차 수출…정비 기술도 함께
몽골 메트로 설계부터 교육까지 통째로 수출
K-철도, 전 세계로 뻗는 ‘철도 한류’ 본격화

“한국에서 기술력 갈고 닦더니, 드디어 인정 받는구나”
한국 철도 기술이 세계 시장을 향해 본격적인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고속열차 수출부터 메트로 컨설팅, 통합 관제시스템 구축까지, 코레일 주도의 ‘K-철도’가 전 세계 철도 인프라의 새로운 이름으로 부상 중이다.
특히 중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철도의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수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열차 수출 넘어 전용선 건설까지
14일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코레일은 국토교통부·현대로템과 함께 ‘코리아 원팀’으로 참여해 우즈베키스탄에 고속열차 EMU-260 42량을 수출했다.

여기에 유지보수 사업까지 더해, 차량과 정비 기술이 동반 수출된 국내 첫 사례로 기록됐다. 철도라는 물리적 상품에 운행 시스템까지 패키지로 담은 셈이다.
현재는 타슈켄트~사마르칸트 노선 중 273km 구간에 고속철 전용선을 신설하는 타당성 조사에도 참여 중이다.
수요 예측, 경제성 분석, 사업비 산정 등을 포함한 이번 조사는 내년 3월까지 마무리될 예정이며, KTX 시승과 관제센터 견학 등 기술 연수도 함께 진행되었다.
울란바토르 메트로 컨설팅, 2030년까지 이어진다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는 만성적인 교통 체증으로 도시철도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코레일은 국가철도공단, 도화엔지니어링 등과 함께 약 590억 원 규모의 메트로 사업관리 컨설팅(PMC)에 참여 중이며, 이 사업은 2030년까지 이어진다.
코레일은 운영·유지보수 조직 설계, 입찰 지원, 시공 감리뿐 아니라 현지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또한 KOICA의 ODA 사업을 통해 관제센터 마스터플랜 수립, 통합 시스템 구축,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몽골 철도 현대화 작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철도를 넘어 시스템까지…글로벌 영향력 확대 중
이제 K-철도는 열차 판매를 넘어, 설계부터 운영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솔루션으로 발전하고 있다.

우즈벡과 몽골뿐 아니라, 모로코 메트로 차량 공급, 필리핀 도시철도 운영 사업 등도 확대되고 있다. 철도 기술력은 물론, 현지 협력과 지속 가능한 운영 전략까지 갖춰야 진정한 철도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제 막 본격화된 K-철도의 글로벌 여정이, 새로운 가능성의 문을 어떻게 열어갈지 주목할 시점이다.
대만도 계약했다네요
우리 기술자들 자랑스러워요
박수를 보냅니다 기업이 살아야 백성이 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