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집에 금반지 없어?” 금값 끝없이 오르는데… 한국은 ‘경고등’, 대체 왜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국제 금값 최고치 경신
  • 국내 금 시장 변동성 심화
  • ‘김치 프리미엄’ 현상 경고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국내 금 시장에서도 큰 변동성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금 수요 증가
  • 국내 금값 하루 10% 이상 급락
  • ‘김치 프리미엄’ 현상 심화
  • 장기적 금값 상승 전망 존재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제 금값이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금 시장에서는 과열과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김치 프리미엄’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금 수요가 급증하며 금값 상승
  • 국내 금값이 국제 시세보다 높게 형성, 하루 10% 이상 급락
  • 한국거래소, 금 시장 과열에 대한 경고 발동
  • 장기적으로 금값 상승 가능성 있지만, 거품 경계 필요
국제 금값 사상 최고치 돌파
국내 금 시장 이상 과열 경고
하루 10%대 폭락세 이례적
금값
국내 금값 변동 / 출처: 뉴스1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안전자산의 상징인 국제 금 시세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금 시장에서는 금값이 하루 만에 10% 이상 급락하는 이례적인 변동성이 나타나 투자자들의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 금값이 해외 시세보다 지나치게 높게 형성되는 ‘김치 프리미엄’ 현상까지 심화되자, 한국거래소는 투자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국내 금값 상승, 과열일까?

국제 금 시세 사상 최고치 다시 써

미국 연방정부가 1일(현지시간)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에 돌입하자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미국 연준 기준금리
국내 금값 변동 / 출처: 연합뉴스

뉴욕상업거래소에 따르면,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온스당 3,897.5달러로 전장 대비 0.6% 상승하며 종가 기준 최고치 기록을 다시 세웠다.

금 현물 가격 역시 이날 장중 온스당 3,895.09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미 의회가 예산안 처리에 실패하며 셧다운이 발생하자,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것이 금값 상승의 주요 원인이다.

명지대학교 경제학과 우석진 교수는 “미 연방 정부 셧다운이 장기화하면 미국 자체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다른 안전자산인 금으로 수요가 몰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예측”이라고 분석했다.

이 밖에도 미국의 재정건전성 우려로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이거나, 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10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도 금값 상승 흐름을 지지하고 있다.

국내 금 시장 과열과 이례적 변동성, ‘김치 프리미엄’ 심화

금값 최고 기록 달성
국내 금값 변동 / 출처: 연합뉴스

금 가격의 고공행진에 힘입어 금을 이용한 재테크인 ‘금테크’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통장 계좌로 금을 거래하는 골드뱅킹 상품의 국내 은행권 잔액은 9월 말 기준 사상 처음으로 1조 4천억 원을 돌파했다.

💡 왜 국내 금값이 해외 시세보다 높은가요?

국내 금값이 해외 시세보다 높은 이유는 ‘김치 프리미엄’ 때문입니다.

  • 김치 프리미엄이란 국내 시장에서 특정 자산의 가격이 해외보다 높은 현상을 말합니다.
  • 이는 국내 투자 수요가 일시적으로 집중되었기 때문입니다.
  • 최근 국내 금값은 국제 시세보다 11.7% 높게 형성되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금 현물 가격은 지난해 말 1그램(g)당 12만 7천 원 선에서 올해 9월 말 19만 4천 원대까지 급등했다.

하지만 국내 시장은 글로벌 추세와는 다른 이례적인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10월 1일 국내 금값은 장중 한때 g당 20만 원 선을 돌파했으나, 몇 시간 지나지 않아 11% 급락하며 18만 원대로 내려앉았다.

이러한 상황에 한국거래소는 금 가격의 큰 움직임이 이례적임을 감안해 금 시장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 정적 변동성 완화장치(VI)를 발동했다.

한국 금 보유 순위
국내 금값 변동 / 출처: 뉴스1

이처럼 심각한 변동성이 나타난 원인은 국내 시장에 투자 수요가 일시적으로 집중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지난달 24일부터 일주일간 국내 거래소 금값이 13.9% 폭등할 때 국제 금 가격은 3% 오르는 데 그쳤다.

국내 금값이 해외 시세보다 높은 정도를 나타내는 ‘김치 프리미엄’은 지난달 30일 기준 11.7%까지 치솟았다.

장기적 상승 전망 속, 거품 경계해야

국내 시장의 단기적 과열 조짐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금값이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싣는다.

국제 금 현물 가격은 작년 하반기부터 장기적인 상승 국면이 지속되면서 9월 29일 기준 올해 들어 46.1% 올랐다.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실질 가격도 1980년 이래 최고치를 넘어섰다.

한국 금 보유 순위
국내 금값 변동 / 출처: 뉴스1

미국의 재정건전성 우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그리고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은 금값을 떠받치는 주요 요인이다.

일각에서는 올 하반기에 국제 금값이 온스당 4,000달러 고지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국내 시장의 과열 양상에 대해 한국거래소는 “명절 기간 중 글로벌 시장 상황에 따른 가격 급변 가능성이 높고, 최근 국내 가격과 국제 가격 간 괴리가 확대되는 점을 감안해 금 투자 시 유의를 당부한다”고 경고했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국내 금값 상승, 과열일까?
아직 투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