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지금도 안 늦었어”… 천정부지로 치솟은 금값, 결국 여기까지 ‘난리’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국제 금 시장에서 금값이 최고치를 기록 중입니다.
  • 국내에서 골드바와 실버바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및 안전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국제 금 시장에서 금값이 급등하면서 국내에서도 관련 상품의 품귀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미중 무역 갈등 완화에도 불구하고 금값은 최고치를 갱신 중입니다.
  • 금은 올해 모든 자산 중 수익률 1위를 기록했습니다.
  • 국내 시중은행에서는 골드바와 실버바 공급이 중단되었습니다.

국제 금 시장에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국내에서도 관련 상품의 품귀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완화에도 불구하고 금은 여전히 인플레이션 헤지와 안전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금 선물 가격은 CME 금속선물거래소에서 역사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금의 상승세는 주가와 함께 움직이면서도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주요 투자은행들은 금값이 더욱 상승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국내 시중은행에서 골드바와 실버바의 공급 중단으로 품귀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전자산 금값, 또 최고가 경신
주식 시장과 함께 이례적 급등
시중은행 골드바 품귀 대란 심화
금값
금값 고공행진 / 출처: 연합뉴스

안전자산의 대표주자인 금이 역사적인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국제 금 시장에서는 연일 최고가 기록이 갈아치워지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열기는 실물 시장으로까지 번져 국내 은행들에서는 골드바와 실버바 품귀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지금 금 투자, 과연 현명한 선택일까?

미중 갈등 완화 속 이어진 금값 고공행진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3.3% 오른 온스당 4,133.0달러로 거래를 마감하며 역사적 최고치를 새로 썼다. 장중 한때 4,137.2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금값 최고 기록 달성
금값 고공행진 / 출처: 연합뉴스

지난해 말 온스당 2,641달러였던 국제 금 시세는 올해 들어 현재까지 56.5%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 금값이 왜 계속 오르고 있나요?

최근 금값 상승은 여러 경제적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습니다.

  • 미중 무역 갈등 완화에도 불구하고 금에 대한 투기성 자금 유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서 금이 안전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주요 투자은행들은 금값이 더욱 오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점은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완화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반등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이 함께 급등했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금 가격과 주가는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여왔으나, 최근 2년 사이에는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동반 상승 추세를 보여왔다.

이러한 이례적 흐름에 대해 미래에셋증권 서상영 연구원은 “미중 갈등 완화와 무관하게 투기성 자금의 유입이 계속되면서 금값이 4,100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수익률 1위 금, 인플레이션 헤지와 안전자산 역할 동시 수행

금값
금값 고공행진 / 출처: 연합뉴스

메리츠증권 윤여삼 연구원은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 금이 올해 모든 자산 중 수익률 1위를 기록한 사실을 지적하며, 금의 가파른 상승세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과 안전자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진단했다.

특히 작년부터 금 가격이 위험자산의 대표격인 주가와 함께 상승한 점에 주목했다.

윤 연구원은 “주가와 동행하고 달러 및 금리의 절대 수준은 금에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현재 금값 상승을 주도하는 경제적 요인으로 “유동성 공급의 수혜와 국채를 대신하는 역할”을 지목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전쟁 격화와 주요국의 재정 불안 우려가 커지면서 채권의 안전자산 역할에 의문이 제기된 것 또한 금 선호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한국 금 보유 순위
금값 고공행진 / 출처: 뉴스1

그는 금 투자가 당분간 유리한 환경에 놓여있음을 인정하지만 금리 동향을 함께 살펴볼 것을 제안했다.

한편, JP모건과 골드만삭스 등 주요 투자은행들은 금 가격이 온스당 4,8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을 발표했다.

최고가 행진에 골드·실버바 품절 대란

이처럼 금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국내 시중은행에서는 실물 상품인 골드바와 실버바 품귀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안전자산 선호가 극도로 강해진 데 따른 시장 반응이다.

금값
금값 고공행진 / 출처: 연합뉴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조폐공사는 이미 지난 1일부터 내년 1월 1일까지 37.5g, 100g, 1kg 등 골드바 전 제품의 공급을 잠정 중단했다.

한국금거래소 또한 오는 20일부터 내년 1월 1일까지 1kg짜리 실버바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이날 우리은행에 통보했다. 현재 우리은행은 금거래소의 1kg짜리 골드바만 구매할 수 있는 상황이다.

KB국민은행은 조폐공사 물량 중단으로 금거래소의 1kg 골드바와 실버바만 판매 중이며, 구매 시 약 10영업일가량 배송 지연이 발생하고 있다.

국제 은 가격 역시 이날 온스당 52.5달러에 달해, 1980년 미국 ‘은 파동’ 당시 기록했던 최고가를 경신했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지금 금 투자, 과연 현명한 선택일까?
현명한 선택이다 0% 현명하지 않다 100% (총 2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