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초청장 받은 한국
440억 달러 규모 LNG 프로젝트
참석 여부 고민 끝에 결정

미국 알래스카주에서 보낸 초청장 한 통이 한국 정부를 고민에 빠뜨렸다. 440억 달러 규모의 거대한 LNG 프로젝트를 논의하는 에너지 콘퍼런스 참석 요청이었다.
대통령 선거 기간과 겹친 미묘한 시기였지만, 정부는 결국 참석을 결정했다. 한미 관세 협상과 연계된 통상 현안을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미국이 직접 보낸 초청장, 거절하기 어려운 이유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다음 달 3일부터 5일까지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에서 개최되는 에너지 콘퍼런스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가 전 세계 에너지 분야 주요 인사들을 초청하며 한국 정부에도 공식 초청장을 발송한 것이다.
이번 제4회 알래스카 지속가능 에너지 회의에는 일본과 대만도 함께 초청받았다. 특히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과 더그 버검 내무부 장관이 모두 참석할 예정이어서 미국 연방 정부의 높은 관심을 보여준다.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앵커리지주 측 초청에 따라 참석을 결정했다”면서도 “시기적으로 장차관 참석은 무리가 있어 실국장급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440억 달러 북극 프로젝트의 기회와 과제

이번 회의의 핵심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다. 북극권 가스전에서 알래스카 남쪽까지 약 1300킬로미터에 달하는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여기서 가스를 액화해 아시아로 수출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10여 년 전 처음 제안됐던 이 계획은 사업성 문제로 표류했다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센터 산업 확산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에너지 공급 확대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한국에게는 에너지 공급선 다변화라는 장점이 있다. 중동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산 LNG 수입을 늘려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는 기대다. 또한 한국의 조선업계에는 쇄빙 LNG선 건조라는 새로운 기회가 열릴 수 있다.
하지만 사업성에 대한 우려도 크다. 혹한의 환경에서 진행되는 공사로 초기 투자비만 450억 달러에 달한다. 장거리 파이프라인 건설로 인해 단가가 높고 사업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관세 협상 카드로 활용되는 에너지 프로젝트

정부가 대선 시기임에도 참석을 결정한 배경에는 한미 통상 현안이 자리잡고 있다. 미국은 이 프로젝트를 한국과의 무역수지 불균형 개선 카드로 활용하고 있으며, 관세 협상과 연계해 압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 정부 역시 이를 대미 관세 협상에서 지렛대로 삼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직접 현지에서 관계자들과 만나 사업성을 판단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결국 정부는 미국의 초청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에너지 안보와 통상 협상이라는 두 가지 고려사항을 검토한 끝의 선택이었다. 이번 콘퍼런스 참석이 한국의 에너지 정책과 대미 통상 관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분명히 차기정부에서 모든것을 결정하도록해야한다 3일부터니까 그날은 아무런결정해서는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