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5,500만 대나 찍어낼 수 있는데” …그저 ‘빛 좋은 개살구’, 곪아 터진 내부 상황 봤더니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중국 자동차 산업의 공급 과잉과 출혈 경쟁이 장기화될 전망
  • 내수 경쟁 과열로 실질 가동률 50% 내외
  • 정부의 개입에도 문제 해결 어려움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현재 공급 과잉과 출혈 경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 상황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내수 시장의 판매량보다 두 배 많은 생산 능력을 보유
  • 정부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 어려움
  • 기존 완성차 제조사들 간의 치열한 가격 인하 경쟁 지속

중국의 자동차 산업은 내수 시장의 과잉 공급으로 인해 심각한 출혈 경쟁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쉽게 해결되지 않을 전망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완성차 생산 능력은 내수 판매량의 두 배에 이르며 실질 가동률은 50%에 불과합니다.

이로 인해 완성차 제조사들 간의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었으며, 수익률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를 전략 산업 목록에서 제외하는 등 산업 재편을 시도하고 있으나, 지방 정부와의 이해관계로 인해 구조조정이 난망한 상황입니다.

  • 중국의 연간 완성차 생산 능력은 5,500만 대를 초과
  • 주요 전기차 제조사의 판매 가격은 3년 만에 1천만 원 이상 하락
  • 중국 전기차 제조사 중 흑자를 기록한 업체는 단 4곳
  • 2030년까지 재무적으로 생존 가능할 회사는 약 15개로 예측
중국차 출혈 경쟁 장기화 전망
공장 실질 가동률은 50% 내외
공급 과잉에 단 네 기업만 흑자
중국 자동차
BYD 아토3 / 출처 : BYD

중국 자동차 산업의 공급 과잉과 출혈 경쟁이 심화하는 현 상황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등장했다.

현재 중국은 지나친 내수 경쟁으로 출혈 경쟁이 반복되고 있으며 이에 중국 정부가 출혈 경쟁을 단속하면서 판매량이 감소세로 돌아선 상황이다.

내수 판매량보다 2배 더 많은 생산 능력

중국 자동차
BYD 아토3 / 출처 : BYD

한국자동차연구원 보고서 ‘중국 자동차 산업의 역설, 내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완성차 생산 능력은 연간 5,500만 대를 넘어섰으며 내수 판매량 2,690만 대의 두 배 수준이다.

여기서 내권이란 소모적인 출혈 경쟁이 지속되고 산업 전반의 질적 향상은 이뤄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해당 보고서는 일정 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한 중국 자동차 산업의 평균 가동률은 지난해 기준 72.2%로 보고 있으나 모든 차량 제조사로 통계 범위를 확장할 경우 실질 가동률은 50% 내외에 머물 것으로 평가했다.

일반적으로 75% 이하일 경우 과잉 설비로 간주하며 이는 곧 중국의 자동차 시장이 과잉 공급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 중국 자동차 산업의 ‘내권’이란 무엇인가요?

‘내권’은 중국 자동차 산업에서 소모적인 출혈 경쟁이 지속되어 산업 전반의 질적 향상이 이뤄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과잉 공급 상태에서의 치열한 경쟁
  • 산업 개선 대신 가격 인하에 집중

공급 과잉에 따른 출혈 경쟁과 수익률 저하

중국 자동차
BYD 아토3 / 출처 : BYD

이러한 공급 과잉 문제는 자연스럽게 중국 완성체 업체 간의 가격 인하 경쟁과 수익률 저하를 불러왔다.

특히 가격 인하 경쟁은 출혈 경쟁 수준으로 심각해진 상황이며 BYD를 비롯한 주요 전기차 제조사의 평균 차량 판매 가격은 2021년 3만1천 달러에서 2024년 2만4천 달러로 3년 만에 1천만 원 이상 떨어졌다.

또한 중국 완성차 업계 수익률은 2017년 8.0%에서 2024년 4.3%로 떨어졌으며 이는 불과 10년이 안 되는 사이 반토막이 난 셈이다.

중국 자동차
BYD 아토3 / 출처 : BYD

현재 중국 전기차 제조사 130곳 중 지난해 흑자를 기록한 업체는 BYD와 리오토 등 단 4곳에 불과했으며 글로벌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는 약 15개 회사만이 2030년까지 재무적으로 생존 가능하다는 극단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중국의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가능할까?

산업 재편 시도에도 현 사태 장기화 전망

중국 자동차
BYD 아토3 / 출처 : BYD

중국 정부는 완성차 업계의 출혈 경쟁과 과잉 공급이 계속되자 전기차를 전략 산업 목록에서 제외하는 등 산업 재편을 시도했다. 그러나 해당 보고서는 이러한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한다.

해당 보고서는 “과거와 달리 중국의 자동차 산업 반 내권 정책은 시장 메커니즘의 원활한 작동에 방점을 두고 있다”며 “세분화한 시장 상황, 첨단 산업으로서의 상징성을 고려하면 향후에도 정부의 직접 개입은 제한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중국 지방 정부와 자동차 산업 간의 이해관계로 산업 구조조정이 난망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지역 경제 악영향을 우려하는 지방 정부가 저리 대출이나 세제 감면 혜택 등의 지원에 나선다면 부실기업 퇴출이 늦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중국의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가능할까?
가능하다 63% 불가능하다 37% (총 8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