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경고했다”…한국에 ‘끔찍한 결과’ 암시, 무슨 일?

댓글 30

중국 전기차, 한국 진출 임박
정부, 상계관세 도입 추진
한중 경제 균형이 관건
한국 중국 관세 검토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중국 전기차가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을 두드리기 시작하면서, 정부 내에서는 유럽연합(EU)의 뒤를 이어 상계관세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다.

이에 중국 관영 매체는 “그저 제스처에 불과하다”고 일축하면서도, 만약 실제 조치로 이어진다면 한중 경제협력에 치명적 파장을 불러올 것이라 경고했다.

중국, 글로벌 전기차 시장 최강자로 부상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370만 대 중 절반 이상인 820만 대를 판매한 중국은 이미 세계 전기차 시장의 최강자로 자리 잡았다.

특히 BYD는 올해 9월까지 261만 대를 팔아 테슬라를 따돌리고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세계 10대 전기차 판매업체 중 6곳이 중국 기업이며, 테슬라와 볼보, 폴스타도 중국에서 차량을 생산해 글로벌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한국 중국 관세 검토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이에 EU는 최대 45.3%의 관세를 부과했고, 미국은 100% 고율 관세로 중국 전기차의 진입을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규제가 덜한 동남아와 중동, 아프리카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태국의 경우 전기차 시장의 84.2%를 중국 브랜드가 차지했고, 중동과 아프리카 시장에서도 BYD와 상하이자동차 계열이 상위권을 휩쓸고 있다.

정부, 상계관세 도입 가능성 언급

한국 역시 중국 전기차의 영향력에서 자유롭지 않다. 지난해 국내 전기 승용차 시장에서 중국산 비중은 14%였고, 올해 10월까지는 25.5%로 급증했다.

특히 중국산 테슬라는 23.7%를 차지하며 확고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미 전기버스 시장에서는 중국산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시장을 장악한 상태다.

한국 중국 관세 검토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를 통해 “EU처럼 상계관세 부과 근거가 관세법에 있다”며 “이해 관계자들의 신청이 있을 경우 공정하고 투명하게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미국과 EU의 경제 정치화에 따른 선언적 제스처’라고 평가하며, 상계관세 시행 시 양국 경제 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 시장에 진출한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행보는 주목할 만하다. 특히 BYD가 어떤 가격 정책을 펼치고, 한국 소비자들이 이를 어떻게 평가할지가 핵심 관전 포인트다.

한국 정부가 현대자동차, 기아 등 국내 전기차 산업을 보호하면서도 한중 경제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지, 그 균형을 맞추는 일이 쉽지 않은 과제가 될 것이다.

3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0

  1. 우리도 증국에 상당한 물품을 수출하니 중국산도 받아줘야지.. 맨날 이재명 김대중 욕하는 바보들은 도대체 어디 출신이냐? 일본놈들인가? 자유무역이라는 것이 주고 받는 것이다. 멍청이들아.

    응답
  2. 중공 은 이웃을 아우러 가면서 자기발전을 꽤하지않고 무참히 짖밝고 가려하니 그렇지 이 멍처아

    응답
  3. 중국이라면 무시하다못해 멸시하는데 힘으로밀고들어오는것에 어떻하나 한국인? 나도한국인이지만, 이전의중국이 아닌걸 왜 인지하지않는지? 세계2위경제대국에 ,전기자동차도 부동의톱자리를 군림하는데,,,중국테슬라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