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조금 대폭 축소
EV6·테슬라 지원금 감소
가격 인하 가능성에 관심 집중

“아… 작년에 살 걸 괜히 기다렸네”, “EV6 보조금 이렇게 줄 줄은 몰랐다”
전기차를 사려던 이들에게 올해 보조금 정책은 아쉬움이 클 수밖에 없다.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금이 대폭 줄어들면서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EV6·테슬라, 보조금 절반 수준으로 축소
국비 보조금이 줄어든 데 이어 서울시도 지자체 보조금을 크게 삭감했다.
기아 EV6 롱레인지 2WD 19인치의 서울시 보조금은 지난해 145만 원에서 올해 60만 원으로 줄었고, 국비와 합친 총 지원금도 829만 원에서 670만 원으로 감소했다.

테슬라 모델3 RWD 역시 서울시 보조금이 52만 원에서 18만 원으로 축소됐으며, 국비 보조금까지 줄어 올해 구매자는 최대 201만 원만 지원받는다.
보조금 지급 기준도 한층 까다로워졌다.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들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짧고 재활용 가치가 낮다는 이유로 지원금이 크게 줄었다.
테슬라 모델Y 후륜구동(RWD)의 국비 보조금은 지난해보다 20% 감소한 169만 원, KG모빌리티 토레스 EVX는 356만 원으로 22% 줄었다.
전기버스·화물차 지원 확대, 승용차는 축소
전기 승용차보다 전기 버스·화물차 보급에 집중하려는 정책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서울시는 올해 전기버스(대형 기준) 지자체 보조금을 지난해 3000만 원에서 7000만 원으로 두 배 이상 늘렸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버스와 화물차 전환이 탄소 감축 효과가 크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전기차를 고려하던 소비자들은 고민이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자체별 보조금 차이도 크다. 부산(230만 원), 대구·대전(250만 원)은 비교적 높으며, 경기 구리는 880만 원으로 전국 최고다. 포항(600만 원), 전남 곡성(650만 원)도 서울보다 많다.
또한 정부는 올해 보조금 전액 지급 기준 차량 가격을 5500만 원에서 5300만 원으로 낮췄다. 이에 따라 제조사들의 가격 조정 가능성이 커졌다.
보조금 축소로 전기차 시장이 변곡점을 맞으며, 가격·성능·충전 인프라 등 종합적인 경쟁력이 시장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다. 향후 전기차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