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 로봇 기술 실증
AI 기반으로 자동으로 충전
3D 카메라·실시간 대응까지

현대차·기아가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손잡고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ACR)의 실증 사업에 착수했다.
이 로봇은 인공지능(AI)과 3D 카메라 기술을 활용해 충전 과정을 전면 자동화하는 것으로, 5월부터 본격적인 테스트가 시작됐다.
인천공항에 등장한 AI 충전 로봇

현대차·기아는 지난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AI 기반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 기술 검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국내 최대 친환경차 인프라를 갖춘 인천공항 내에서 충전 로봇을 운영하며 기술 실증에 나섰다.
인천공항은 이미 모든 관내 업무용 차량을 친환경차로 전환했고, 2026년까지 1,110기의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인공지능 충전 로봇의 실증 장소로 최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이번 사업을 위해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과 함께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공항 운영 환경에 맞춘 서비스 시나리오를 개발 중이다.
공사는 우선적으로 업무용 차량을 대상으로 해당 기술을 적용하고, 공사 직원의 피드백을 통해 실제 사용성과 편의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은 “어떤 환경에서도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한 맞춤형 자동 충전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향상된 이동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충전도 ‘비대면’ 시대…AI와 3D 카메라가 핵심

이번에 투입된 ACR은 외팔형 로봇 구조를 가지고 있다. AI와 3D 카메라 알고리즘을 활용해 차량의 충전구를 정확히 인식한 뒤, 충전기를 자동으로 연결·분리한다.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케이블을 제자리에 원상 복귀시키는 방식이다.
특히 주차 위치, 충전구 구조, 주변 장애물, 날씨 등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환경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방진·방수 등급(IP65)을 확보해 야외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작동한다.
또한 고령자, 교통약자 등 직접 충전 케이블을 다루기 어려운 이용자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다. 안전 측면에서는 레이저 센서를 탑재해 주변 사람이나 사물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는 기능도 포함됐다.
교통 허브로 확산 준비…미래 활용도도 ‘주목’

한편 현대차·기아는 이번 실증을 통해 기술의 안정성과 사용성을 확보한 뒤, 충전 로봇 서비스를 항만, 철도역 등 다른 교통 거점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는 인천국제공항 내에서 공항 운영 차량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 중이며, 추후 일반 전기차 이용객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영역을 넓힌다는 방침이다.
특히 기술 신뢰성 확보를 위해 국내외 인증(KC, CE 등)도 이미 완료됐고, 향후 자율주차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다수 차량의 순차적 자동 충전도 가능한 구조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충전구 찾는데 AI를 너무 띄우는 것 아닌지?
프로토콜과 몇 가지 기술을 적용하면 AI가 아니어도 되는데…
그럼 당신이 그 몇가지 기술 제공해서 빠르네 보급좀시켜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