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다고 좋아했더니”…한국만 핵심 기능 ‘다 빼고’ 출시? 소비자들 ‘분통’

댓글 2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BYD 씨라이언7, 한국 출시
  • 가격 4천490만 원, 보조금 미정
  • 해외 옵션 국내 미포함, 불만 고조

BYD의 전기 SUV ‘씨라이언7’이 한국 시장에 상륙했습니다.

  • 가격은 세제 혜택 후 4천490만 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 해외에서 제공되는 일부 고급 사양이 국내 모델에서 제외되어 불만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BYD의 중형 전기 SUV 씨라이언7이 한국 시장에 출시되었습니다. 이 차량은 고급 사양과 보조금 선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외 모델에 포함된 라이다 센서 등 몇 가지 옵션이 제외되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 씨라이언7의 가격은 세제 혜택을 반영하여 4천490만 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 고급 사양으로는 파노라믹 글래스 루프, 스포츠 시트, 15.6인치 디스플레이 등이 있습니다.
  • 해외 옵션인 회전형 디스플레이 등이 빠졌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습니다.
BYD 씨라이언7, 4천만 원대 전기 SUV 출격
보조금 선지원·고급 사양으로 경쟁력 강조
해외 옵션 빠진 한국판, 소비자 불만 고조
BYD 씨라이언7 출시
출처 : BYD

BYD의 중형 전기 SUV ‘씨라이언7’이 한국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가격은 세제 혜택을 반영해 4천490만 원으로 확정됐으며, 정부 보조금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보조금 선지원에 고급 사양까지…씨라이언7이 내세운 무기

🗳 의견을 들려주세요

해외보다 빠진 기능, 소비자 불만 정당할까?

BYD코리아는 보조금 확정 전 출고를 원하는 고객에게 예상 금액 180만 원을 먼저 지원하겠다고 밝히며 부담을 덜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외관은 쿠페형 실루엣에 스포티한 감각을 더했고, 실내에는 파노라믹 글래스 루프와 스포츠 시트, 15.6인치 대형 디스플레이, 뒷좌석 열선과 리클라이닝 기능 같은 편의 사양이 기본으로 들어갔다.

BYD 씨라이언7 출시
출처 : BYD

휠베이스는 2,930mm로 동급 최대 수준이며, 트렁크 공간은 최대 1,700리터 이상 확보할 수 있어 패밀리 SUV로도 손색없다.

💡 BYD 씨라이언7의 한국형 모델에 어떤 기능이 빠졌나요?

한국형 모델에서 빠진 기능은 해외판에 포함된 고급 옵션들입니다.

  • 라이다 센서: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 첨단 장치입니다.
  • 다인오디오 프리미엄 사운드: 고급 음향 시스템으로, 향상된 음질을 제공합니다.
  • 회전형 디스플레이: BYD의 대표적 장치로, 사용자 경험을 혁신적으로 개선합니다.

성능도 눈에 띈다. 전용 플랫폼과 셀투바디 기술을 기반으로 313마력 전기모터와 82kWh 블레이드 배터리를 탑재해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6.7초 만에 도달한다.

한 번 충전으로 국내 기준 398km를 달릴 수 있고, 겨울철에도 385km를 확보해 효율 저하가 적다.

안전 사양은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보조, 3D 서라운드 뷰 모니터 등 첨단 기능이 모두 기본 탑재됐으며, 에어백도 9개가 들어가 유럽과 호주 안전 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다.

해외에선 풀옵션, 한국에선 빠진 사양?…커지는 소비자 불만

BYD 씨라이언7 출시
출처 : BYD

그러나 시장 반응은 기대만큼 뜨겁지 않다. 해외판에서 제공되는 라이다 센서, 다인오디오 프리미엄 사운드, HUD, 회전형 디스플레이 등이 국내 모델의 초기 사양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특히 회전형 디스플레이는 BYD의 대표적 장치로 꼽히던 기능이라 아쉬움이 크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증 과정과 사양 차이 때문이라는 설명이 이어지고 있지만, 소비자 불만을 완전히 잠재우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국산 전기차에 비해 보조금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더해지면서, 기대했던 ‘가성비 전기 SUV’라는 이미지가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씨라이언7은 공간과 성능, 안전성을 갖췄지만 국내 소비자 신뢰 확보가 과제로 남아 있다. 전시장에서 곧 시승이 시작되지만, 한국 시장에서의 평가는 아직 미지수다. 향후 대응과 신뢰 회복 여부가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다.

2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해외보다 빠진 기능, 소비자 불만 정당할까?
정당하다 75% 정당하지 않다 25% (총 4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