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넘는 만행에 “끝내 최악 사태 발생” …자국민 머리 위의 ‘이것’에 국제 사회마저 ‘초비상’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미얀마 군부, 민간인 마을 공습
  • 동력 패러글라이더 사용
  • 무기 공급 지속, 국제 비난

미얀마 군사 정권이 반군 민간인 마을을 동력 패러글라이더로 공습하여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 비용 절감을 위해 패러글라이더 사용
  • 중국과 러시아의 무기 공급 지속
  • 말레이시아의 평화 중재 시도
  • 총선 계획 발표

미얀마 군사 정권이 2021년 쿠데타 이후 권력을 장악하며 내전 상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군부는 비용 절감을 위해 동력 패러글라이더로 민간인 마을을 공격해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 최소 40명 사망, 축제 현장까지 공격
  • 중국과 러시아의 지속적인 무기 공급
  • 중국은 중재자 역할 자처
  • 말레이시아, 평화 계획 촉구
  • 미얀마 군사 정권, 총선 실시 계획
민간인 마을마저 공습한 군사 정권
비용 절감 위해 패러글라이더 사용
중국과 러시아 등의 무기 공급 지속
미얀마 폭격
미얀마 전투기 / 출처 : 연합뉴스

미얀마 군사 정권이 모터가 달린 동력 패러글라이더로 반군 측 민간인 마을을 공습해 국제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최근 들어 미얀마 군사 정권은 반군을 제압에 투입되는 비용 절감을 위해 동력 패러글라이더를 이용한 폭격을 늘리고 있다.

민간인 마을의 축제 현장마저 폭격

미얀마 폭격
미얀마 폭격 현장 / 출처 : 연합뉴스

현재 미얀마는 2021년 발생한 쿠데타 이후 군부가 정권을 장악한 상태이며 군사 정권이 무력으로 민주화 인사를 탄압하자 이에 반발한 시민들이 미얀마 시민방위군을 창설해 내전 상태로 격화되었다.

이에 미얀마 내부는 매우 불안정한 상황이며 군사 정권은 그간 중국이나 러시아제 헬기를 동원해 반군에 대한 공습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동력 패러글라이더를 활용해 반군 측 민간인 마을의 축제 현장을 폭격했으며 현재까지 최소 4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주민 측 증언에 따르면 행사 주최 측으로부터 동력 패러글라이더 접근 소식을 듣고 군중들이 달아나기 시작했지만 예상보다 패러글라이더가 일찍 도착해 폭탄을 떨어뜨리며 피해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미얀마 군사 정권의 패러글라이더 사용, 적절할까?

무기 판매에 혈안이 된 일부 국가

미얀마 폭격
미얀마 군사 정권 / 출처 : 연합뉴스

그러나 미얀마 군사 정권의 무차별적 공습에도 불구하고 일부 국가들은 여전히 미얀마 측에 무기를 판매하고 있어 국제 사회의 질타를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저렴한 가격을 내세워 전투기까지 미얀마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한편으로는 미얀마 군사 정권과 반군 간의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은 FTC-2000 전투기 이외에도 잠수함 등의 해군 함정을 판매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며 러시아 또한 미얀마 군부에 헬기와 지대공 미사일, 장갑차 등의 각종 무기를 공급했다.

미얀마 폭격
미얀마 군사 정권 / 출처 : 연합뉴스

국제 사회의 감시와 비난에도 불구하고 미얀마 군사 정권이 이러한 나라들로부터 무기를 공급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외교적 고립을 탈피하려는 군사 정권과 반서방 전략을 강화하는 중국 등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 미얀마 군사 정권이 패러글라이더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미얀마 군사 정권은 반군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비용 절감을 위해 동력 패러글라이더를 사용합니다.

  • 패러글라이더는 기존의 헬기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운영 가능합니다.
  • 군사 정권은 비용 절감을 위해 다양한 무기 사용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의 중재 시도와 총선

미얀마 폭격
미얀마 군사 정권 / 출처 : 연합뉴스

한편 말레이시아 외교부는 모하마드 하산 외교부 장관이 미얀마 수도 네피도를 방문해 군사 정권의 수장 등을 만난다고 전했다. 말레이시아의 하산 장관은 올해 아세안 의장국 자격으로 미얀마 군사 정권에 평화 계획 이행을 촉구할 방침이다.

하산 장관과 말레이시아 외교부는 “적대 행위 중단 및 인도적 지원의 자유로운 현지 접근 허용, 미얀마 이해 당사자들과의 포용적인 대화”를 요청할 것이라 밝히며 적극적인 중재 의지를 드러냈다.

또한 미얀마 측 군사 정권은 ‘민간으로 정권 이양’을 내세워 오는 12월 28일부터 총선 1차 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국제 사회는 이러한 미얀마 총선이 군사 정권의 집권을 정당화하는 요식 행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으며 총선에 앞서 내전 중단과 평화 약속 실행을 촉구하고 있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미얀마 군사 정권의 패러글라이더 사용, 적절할까?
적절하다 0% 부적절하다 100% (총 14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