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부동산도 아닌데 “쳐다볼 엄두도 안 나”…무섭게 오르는 ‘이 곳’

댓글 1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서울 아파트값 4주 연속 상승세
  • 한강 벨트 중심으로 가격 상승
  • 경기도 분당·과천까지 확산

서울의 아파트 시장이 불안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서울 아파트값은 4주 연속 오름세입니다.
  • 한강 벨트 지역에서 상승이 두드러집니다.
  • 규제 풍선효과로 분당·과천도 가격 급등을 기록했습니다.

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강 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한 결과입니다.

이와 함께 경기도 성남 분당구와 과천시에서도 가격이 크게 오르는 등, 인접 지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9월 둘째 주 이후 4주 연속 상승세입니다.
  • 성동구, 마포구, 광진구가 서울 상승세를 이끌고 있습니다.
  • 분당은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며, 과천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한강벨트 중심 상승세 심화
광진구 아파트값 역대 최고
분당·과천 ‘규제 풍선효과’ 확산
집값
서울 아파트값 상승 / 출처: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값이 4주 연속 상승 폭을 키우며 불안정한 시장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경기도 성남 분당구와 과천시 등 서울 인접 지역까지 가격 상승세가 확산되면서 서민들의 주거 불안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서울 집값 상승, 어쩔 수 없을까?

한강 벨트의 뜨거운 열기, 서울 전역으로 번져

한국부동산원이 2일 발표한 ‘9월 다섯째 주(9월 2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7% 상승하며 지난 9월 둘째 주 이후 4주 연속 상승 폭을 확대했다.

아파트 규제 해제
서울 아파트값 상승 / 출처: 연합뉴스

이는 지난 6월 27일 대출 규제 시행 직후 잠시 축소되던 오름세가 다시 탄력을 받은 결과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을 이끈 것은 한강 벨트 지역이었다. 성동구는 0.78%의 상승률로 서울에서 가장 높은 오름폭을 기록했다.

마포구는 0.69%, 광진구는 0.65% 오르며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광진구의 주간 상승률 0.65%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 아파트값 상승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서울 아파트값 상승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 한강 벨트 지역에서의 가격 상승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단지에 대한 매수 문의가 증가했습니다.
  • 분당과 과천에서는 규제의 풍선효과로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부동산원은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재건축 추진 단지나 대단지, 역세권 등 선호도가 높은 단지들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New Town Reconstruction Share (2)
서울 아파트값 상승 / 출처: 연합뉴스

실제로 상승 거래가 포착되면서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에서 상승 폭이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마포, 성동, 광진구 등이 추가 규제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이번이 마지막 투자 기회라고 판단한 이들이 선제적으로 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규제 비켜난 분당·과천, 전국 최고 상승률 기록

서울의 규제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는 경기도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성남 분당구는 0.97%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오름세를 보였다. 과천시 역시 0.54% 오르면서 한강 벨트 못지않은 초강세를 나타냈다.

이처럼 분당과 과천의 집값이 급등한 배경에는 서울 강남권과의 뛰어난 접근성이 첫손에 꼽힌다.

집값
서울 아파트값 상승 / 출처: 뉴스1

이와 더불어 올해 과천의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이 거의 없었고 분당 역시 신규 공급이 극히 적어 기존 주택의 희소성이 커진 점도 작용했다.

또한, 분당은 1기 신도시 재건축 및 리모델링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투자 및 실수요가 동시에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NH농협은행 윤수민 부동산전문위원은 서울 시장에서 신규 주택과 기존 주택을 가리지 않고 가격이 급등하며 매물이 소진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이는 지난 6월 27일 대출 규제 시행 직전과 유사한 수준의 급등세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규제 강화와 금리 불확실성 속에서도 서울과 인접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지속되며, 주택 시장 안정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과 서민 주거 안정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1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서울 집값 상승, 어쩔 수 없을까?
어쩔 수 없다 38% 받아들일 수 없다 62% (총 26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