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도 한번 하려다 ‘이럴 수가'”…철썩 같이 믿었다가, 10명 중 9명 ‘피눈물’ 흘린 이유

댓글 2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상조 결합상품 피해 증가
  • 10명 중 9명 계약 모호성
  • 상조회사 재무 불안정

상조 결합상품을 둘러싼 문제로 소비자 피해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90%의 소비자가 상조 및 가전 계약의 별도 여부를 인지하지 못하고 가입
  • 소비자 피해 사례로 계약 해지 거부와 비용 청구
  • 상조회사의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여 소비자 불안증대

상조회사의 결합상품 판매 방식이 소비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많은 소비자가 예상치 못한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 상조 결합상품에 가입한 소비자 중 90%가 별도 계약에 대한 설명을 듣지 못함
  • 청약 철회 거부, 비용 청구 등 피해사례 다수 발생
  • 상조회사의 재무 상태가 불안정하여 소비자 불안 가중
  • 소비자 보호를 위한 판매 채널 규제 및 정보 공개 필요
“TV 공짜” 미끼에 상조 계약 덜컥
10명 중 9명, 별도 계약도 모르고 가입
부채 넘친 상조회사…소비자 불안 확산
상조 계약 사기
출처 : 연합뉴스

“TV 공짜 준다더니 계약 해지도 못 한다”는 말 때문에 수많은 소비자가 낭패를 겪고 있다.

‘상조 서비스’에 가입하면 가전제품을 덤으로 준다는 허울 뒤에 숨겨진 진실이, 소비자 설문조사와 금융 자료를 통해 연이어 드러나고 있다.

“TV 공짜 준다더니”…10명 중 9명, ‘별도 계약’도 모르고 싸인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상조 결합상품 판매, 적절할까?

상조 결합상품에 가입한 소비자 가운데 무려 90%는 계약 내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이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결합상품을 받은 사람 440명 중 단 44명만이 “상조 계약과 가전 계약이 별도”라는 설명을 듣고 가입했다고 답변했다. 나머지는 이를 하나의 계약으로 오해했거나, 사은품이라 여겼다.

상조 계약 사기
출처 : 연합뉴스

이런 오해는 실제 피해로 이어졌다. 응답자의 약 18.8%가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구체적 피해 유형을 보면 ‘결합상품을 뜯었다’는 이유로 상조 서비스 자체의 청약 철회까지 거부당한 사례가 전체의 54.3%나 됐다.

💡 상조 결합상품이란 무엇인가요?

상조 결합상품은 상조 서비스 가입 시 가전제품 등을 추가로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 소비자들은 별도 계약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가입
  • 이로 인한 계약 해지 거부 및 추가 비용 청구 사례 발생
  • 결합상품의 계약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

또 ‘사은품인 줄 알았는데 돈이 청구됐다’는 응답도 52.1%에 달했다. 이러한 피해구제 신청은 2022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462건에 이른다.

판매 방식도 문제였다. 전체 가입 경로에서 약 절반(47.0%)이 전자제품 매장 직원에 의한 권유였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계약 핵심을 이해한 정도는 5점 만점에 3.16점 수준에 머물렀다. 즉, 계약 당시 소비자는 “뭘 사는지도 모르고” 가입을 결정한 경우가 다수인 셈이다.

부채가 자산보다 많았다…‘휘청이는 상조회사’에 소비자 불안 증폭

상조 계약 사기
출처 : 연합뉴스

소비자 불안은 상조업계의 재무 상태와 맞물려 더욱 커지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를 통해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75개 상조회사의 부채는 최근 5년간 계속 자산을 웃돌았다.

2025년 3월 기준으로는 자산(11조 294억 원)이 부채(11조 304억 원)를 간신히 앞서는 수준이지만, 이는 재무 구조가 안정적이라고 보긴 어려운 상태다.

강준현 의원은 “소비자에게 사은품처럼 속여 결합상품을 파는 판매 채널은 강력히 규제해야 한다”며, “소비자가 상조회사의 재무 상태를 쉽게 열람할 수 있게 공시 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요구했다.

사업자와 판매 채널에 대한 감독과 제재가 없이는 이 같은 기만적 관행이 또다시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지금처럼 불완전정보의 시대에, 더 늦기 전에 적극적인 관심과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

2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상조 결합상품 판매, 적절할까?
적절하다 0% 부적절하다 100% (총 16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