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사태 후 6개월간 라면값 폭등
가공식품 60곳 동반 인상 여파
서민 장바구니 직격탄

“라면 한 개에 정말 2천원씩 한다는 게 사실인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상경제점검회의 중 던진 이 질문이 심상치 않다. 대통령이 직접 라면 가격을 언급한 배경에는 계엄사태 이후 6개월간 가공식품 물가가 서민들의 장바구니를 강타했기 때문이다.
국제유가 하락과 농산물 가격 안정으로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개월 만에 1%대로 진정됐지만, 가공식품만큼은 예외였다. 두 달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라면값 1년새 6.2% 폭등…전체 물가의 3배
라면 가격 상승폭이 특히 눈에 띈다. 1년 전 대비 6.2%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1.9%의 세 배를 넘었다. 가공식품 전체 상승률 4.1%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농심, 오뚜기, 팔도 등 주요 제조사들이 앞다퉈 100~200원씩 가격을 올리면서 이제 2천원 안팎 제품이 주류가 됐다. 농심 신라면툼바, 신라면블랙 등 컵라면은 편의점에서 1천800원에 판매되고, 신라면블랙 봉지라면은 1천900원이다.
오뚜기는 더욱 공격적이다. 진짬뽕, 열치즈라면, 짜슐랭 등 무려 10종에 가까운 컵라면이 2천원대에 진입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1천원 중반이던 라면이 이제 2천원을 바라보는 상황이 된 것이다.
라면만 오른 게 아니다. 지난해 12월 계엄사태 이후 정국 혼란기 6개월 동안 식품·외식기업 60여 곳이 제품 가격을 연쇄 인상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초콜릿이 10.4%로 가장 가파르게 올랐고, 커피가 8.2% 상승했다. 빵과 잼, 햄·베이컨도 각각 6% 가량 값이 뛰었다. 서민들의 일상 식품이 모두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한 셈이다.
“혼란기 틈타 인상했다” 곱지 않은 시선

기업들은 원부자재비와 인건비 상승, 환율 급등을 이유로 내세웠다. 계엄사태로 원/달러 환율이 1천450원을 넘나들며 원화 가치가 급락한 것이 주요 요인이라는 설명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교수는 “정부가 그동안 물가 안정을 위해 기업들의 가격 인상을 억제해왔는데, 억눌려있던 것이 한번에 터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가격을 올린 대부분 업체에서 지난해 매출원가 증감률이 매출액 증가율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았다”며 “원가 부담이 크지 않은데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라면의 주요 원재료인 밀가루 가격은 올해 1분기 기준 작년 대비 1.2% 상승에 그쳤다. 주요 국제 곡물인 밀과 대두 가격도 최근까지 하락세를 보였는데 이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업체들이 가격을 올린 점이 의문스럽다는 지적이다.
서민 장바구니 직격탄…연쇄 인상 우려

라면 가격 인상은 단순히 하나의 품목 문제가 아니다. 대표적인 서민 음식인 라면 가격이 오르면 분식점 등 외식업계에도 영향을 미쳐 라면 한 그릇이 5천원을 넘는 경우가 많아졌다.
라면을 활용한 떡볶이, 라볶이 등 다양한 메뉴 가격도 연쇄적으로 오를 수밖에 없어 서민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라면과 유사한 원재료를 사용하는 빵, 과자 등 다른 가공식품 가격도 줄지어 오를 가능성이 높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공식품 물가 안정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식품기업의 도미노 인상이 멈출 것”이라며 “세계 식량가격 하락과 환율 안정으로 가공식품 가격은 더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현재 물가 상승은 원가 상승 때문인데, 기업은 생산성 향상으로 원가를 낮출 수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정부는 재료 수입 단가와 에너지 비용을 낮추는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지금 자본주의만 하는 나라가 어딨나? 박정희 개발정책자체가 사회주의식 이건만. 중하교때 놀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