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기술자 내쫓더니 “우려가 결국 현실로”…발칵 뒤집힌 美 상황

댓글 1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미국 조지아주 첨단 공장 건설 중단
  • 한국인 기술자 300명 체포, 귀국
  • 미국 내 대체 인력 부족

미국 조지아주의 첨단 공장 건설이 중단되었습니다. 이는 한국인 기술자 300명이 체포되어 귀국하면서 발생한 일입니다.

  •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 건설 중단
  • 미국 내 숙련 인력 부족으로 대체 어려움
  • 미국 정부의 비자 정책 갈등

미국 조지아주에서 진행 중이던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공장 건설이 한국인 기술자 300명이 체포되어 귀국하면서 중단되었습니다. 이는 미국의 비자 정책 해석 차이에서 비롯된 문제입니다.

이로 인해 공장 건설은 최소 2~3개월 지연이 예상되며, 미국 내에서 대체할 숙련 인력을 구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 300명 기술자 공백으로 공장 건설 중단
  • 미국의 비자 정책 해석 차이로 갈등
  • 미국 내 숙련 인력 부족, 훈련에 시간 소요
  • 3D 업종으로 인식해 인력 모집 어려움
텅 빈 미국 첨단 공장
숙련공 부재, 건설 ‘올스톱’
“미국인 고용은 비현실적” 호소
한국인 기술자
조지아주 공장 건설 지연 / 출처: 연합뉴스

미국산 첨단 제품을 만들겠다며 대규모 공장을 짓던 조지아주 건설 현장이 멈춰 섰다. 공장의 핵심 설비를 설치하던 한국인 기술자 300여 명이 하루아침에 현장을 떠나면서다.

미국인 고용을 외치던 목소리가 무색하게, 현장에서는 대체 인력을 구하지 못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한국인 기술자 출국, 대체 인력 찾기 불가능할까?

300명 기술자 공백… 멈춰버린 ‘첨단 공장’ 심장부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합작 공장은 그야말로 ‘올스톱’ 상태에 빠졌다.

한국인 기술자 단속
조지아주 공장 건설 지연 / 출처: 연합뉴스

미 이민 당국에 의해 한국인 기술자 300여 명이 체포·구금되었다가 결국 한국으로 돌아오면서 현장은 동력을 완전히 상실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이번 사태로 공장 건설이 최소 2~3개월 지연될 것이라며, 한국으로 돌아간 인력들의 빈자리를 채울 방안을 찾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대체할 인력 대부분이 미국에는 없다”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강조했다.

지난 12일 귀국한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공장 지연에 대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지만, 업계의 시각은 다르다.

한국인 기술자 단속
조지아주 공장 건설 지연 / 출처: 연합뉴스

한꺼번에 빠져나간 300여 명의 숙련 기술자를 단기간에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이다.

💡 왜 한국인 기술자들이 귀국했나요?

한국인 기술자들이 귀국한 이유는 미국 이민 당국의 비자 정책 해석 차이에 따른 체포 및 구금 때문입니다.

  • B1 비자는 상용 장비 설치, 시운전 등을 허용하지만 해석 차이로 갈등 발생
  • 미국 내 대체 인력 부족으로 공장 건설 지연

가르쳐서 쓰라고?…’5년 걸릴 일’에 한숨 쉬는 업계

미국 정부는 미국인을 훈련해 투입하라고 요구하지만, 업계는 ‘비현실적인 탁상공론’이라며 고개를 젓는다. 당장 공사를 재개해야 하는 상황에서 수년을 기다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단순 보조 업무를 가르치는 데에도 최소 6개월이 걸리는데, 5~6년 경력이 필요한 배터리, 반도체 설비 숙련공을 어떻게 단기간에 양성하느냐”며 불가능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한국인 기술자
조지아주 공장 건설 지연 / 출처: 연합뉴스

문제는 시간뿐만이 아니다. 공장에 설치되는 장비 대부분은 한국 협력사들이 개발한 맞춤형 설비다.

이 장비를 설치하고 시운전하는 노하우는 해당 기업의 기술자들만이 보유하고 있어, 외부 인력이 단기간에 배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3D 업종’ 인식까지… 꼬여버린 비자 문제, 해법은?

미국 현지에서 인력을 구하는 것 자체도 난관이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젊은 층은 반도체나 배터리 공장 근무를 소위 ‘3D 업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기술을 가르치고 싶어도 배울 사람을 찾기조차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전했다.

반도체
조지아주 공장 건설 지연 / 출처: 연합뉴스

결국 모든 문제의 근원은 꼬여버린 비자 정책으로 향한다. 구금됐던 인력 중 상당수가 보유했던 B1 비자는 상용 장비의 설치, 시운전, 현지 직원 교육 등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미 당국이 이를 문제 삼으면서 해석의 차이가 갈등을 키웠다.

정부는 서둘러 해법 마련에 나섰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12일 “B1 비자에 대한 한미 간 해석 차이가 문제의 핵심”이라며 “미국 측과 워킹그룹을 통해 새로운 비자 신설을 포함한 근본적인 시스템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1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한국인 기술자 출국, 대체 인력 찾기 불가능할까?
불가능하다 86% 가능하다 14% (총 7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