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과 두려움에 개인정보 공개 꺼리는 교사들
교권 침해·불신 높아져 이직 고민 심각

“졸업생이 전화로 돈 꿔달라 한 적도 있고, 여자 선생님들은 통계에 잡히지 않는 애매한 스토킹 범죄가 빈번합니다.”
서울의 한 남자 고등학교 교사 정모(29)씨의 말이다.
그는 남교사라 문제 발생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해 졸업생과 연락할 SNS 계정을 따로 운영하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감을 떨치지 못한다고 했다.
최근 1년간 이직이나 사직 고민

스승의 날을 앞두고 있지만, 요즘 교사들의 현실은 암울하다.
경기교사노동조합이 14일 발표한 ‘교직 및 교육현장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교사 10명 중 7명 이상(72.3%)이 최근 1년간 이직이나 사직을 고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합원 3,408명이 참여한 이 조사에서 교사들은 이직·사직을 고민한 가장 큰 이유로 ‘교권 침해 및 과도한 민원'(48.3%)을 꼽았다.
찾는 제자는 줄고, 숨는 교사는 늘고

한때 인기를 끌었던 ‘스승찾기’ 서비스의 이용자 또한 급감하고 있다. 서울시 교육청에 따르면 스승찾기 신청 건수는 2022년 2,107건에서 2023년 2,054건, 2024년에는 1,548건으로 줄어들었다.
더 심각한 것은 교사들의 정보 제공 동의율이다. 2023년 상반기까지 진행된 조사에서 교사들의 정보제공 동의율은 30%에도 미치지 못했다.
“제자 이름을 듣고 얼른 기억이 나 반응하는 선생님도 있지만, 곤란해하거나 하소연하는 선생님도 있습니다.”
서울시 교육청 관계자는 2023년 하반기부터는 방식을 바꿔 제자 연락처를 교사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대전시 교육청의 사례다. 2023년 8월 스승찾기 서비스를 통해 교사 정보를 알아낸 졸업생이 교사에게 흉기를 휘두른 사건이 발생한 후, 해당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가 5개월 후에야 재개했다.
교권 침해 경험, 절반 넘어
교권 침해 실태도 심각하다. 경기교사노동조합의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교사의 56.3%가 학생에게, 56.5%는 학부모에게 교권 침해를 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은 정상적인 교육활동 보장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현장 체험학습 사고 등에 대비한 교육활동 보호 대책 수립'(78.5%)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교사와 학생 간 관계 개선을 위해 교육 당국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최선정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교사 개인 정보가 딥페이크 등 범죄로 악용될 수 있어 교육청이 운영하는 스승찾기 서비스라도 정보 제공을 꺼리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하늘 같은 스승의 은혜와 끈끈한 사제의 정이 다 옛말이 된 지금, 교사들의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고 교권을 회복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렇게 된 근본 원인은 전교조 때문이고
교사들이 스스로 자초한 일이다
이 싸이트 즉시 문닫아라. 쓰레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