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택스 자동화로 신고 편리
AI와 맞춤형 서비스 강화
세무사, 고부가가치 전환 필요

“귀신같이 사라졌다. 나 뭐 먹고 살지?”
세무사 사무실에서 보조 업무를 하던 A씨는 최근 국세청의 홈택스 개편 소식에 한숨을 내쉬었다. 건당 11만 원을 받으며 처리하던 부가가치세 신고 업무가 자동화되면서 고객 문의마저 끊겼기 때문이다.
홈택스, 신고서 자동화로 사용자 편의성 대폭 강화
국세청은 1월부터 개선된 홈택스를 단계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주요 기능 중 하나는 ‘부가가치세 신고서 자동 작성 서비스’다.
납세자가 홈택스에 로그인하면 과세 유형과 신고 시기에 맞춘 화면이 자동으로 뜨고, 국세청이 보유한 신용카드 매출·현금영수증·전자세금계산서 데이터를 활용해 신고서가 채워진다.

매출이나 공제 항목도 수정하면 자동으로 세금이 재계산돼 납부 금액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이 덕분에 한 카페 운영자는 “매출세액과 매입세액이 정리돼 있어 신고 과정을 쉽게 마쳤다”고 전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도 개선돼, 소득 요건을 초과했거나 사망한 부양가족의 자료는 제외되며 과도한 공제 방지로 최대 40%의 가산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사용자 맞춤형 포털로 진화하는 홈택스
국세청은 복잡했던 홈택스 메뉴 구조도 전면 개편했다. 800개가 넘는 메뉴와 4천여 개 화면을 빅데이터로 분석해, 개인 맞춤형 포털로 만든 것이다.

알림 기능으로 필요한 신고와 민원 진행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자주 쓰는 메뉴가 자동 추천된다.
AI 기반 검색 시스템도 도입돼 세법 용어를 몰라도 ‘배달라이더’처럼 일반 단어로 검색하면 관련 세무 일정과 신고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또 AI 상담 서비스는 단순 문의부터 복잡한 신고 절차까지 폭넓게 지원한다.
세무사, 고부가가치 서비스로 나아가야
디지털 전환으로 단순 신고 업무가 자동화되면서, 세무사 업계에는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제 세무사들은 개인 맞춤형 세금 설계나 복잡한 세무 자문 같은 고부가가치 서비스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AI 시스템은 세무사의 역할을 완전히 대체하기보다는 보완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국세청의 홈택스 개편이 가져온 편리함 속에서, 차별화된 전문성을 발휘하는 것이 세무사들의 생존을 좌우할 것이다. 세무 업계가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거저 먹으려 하면 안되지
세무사들 영세자영업많이 울거먹엇네요
세금은 세무사를위해 있는대 뭘걱정하나
이나라는 간첩과 범제자를 %위해 달려가고 법은 변호사를위해있고 돈은 세무사를위해 있다 걱정 하지마,
한달에 10만원 15만원씩 받아먹고 해주는것도 없는데 이참에 머리좀 싸메봐야 정신차리지
무식한 댓글들 많네
이건 어찌보면,잘하는거네. 어차피 신고할경우는 좋은 제도라 봄…솔까 개인세무사한테 한달에 한번돈내주는것도 힘들던데…연말에 직원들 정산하는것도 힘들고..ㅠ
근데 어차피 세무사한테 맡길수밖에 없음. 간편해졌다고 해도 복잡한건 매한가지라서 오히려 세무사들만 편해진거지
종소세 신고 11만원 받고 5분만에 끝내는것도 있는데 어떻게 더 고부가가치를 올리냐 이게 젤 꿀인데
어차피 세무사한테 맡겨야 함. 세무서나 관청에 이야기하면 모름. 개 병신들임. 그리고 세무사를 소개시겨줌
어차피 세무사한테 맡겨야 함. 세무서나 관청에 이야기하면 모름. 그리고 세무사를 소개시겨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