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수업 거부 중인 가천대 의대 학생들을 향해
이길여 총장이 처음으로 입을 열다

이길여(92) 가천대 총장이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수업 거부 집단행동을 하고 있는 의대생들에게 학교로 돌아오라고 호소했다.
이길여 총장은 의사 출신이며 가천대학교와 가천대길병원 설립자이다. 의료계 원로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총장이 의료 대란에 대한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총장은 8일 가천대 의과대학 홈페이지에 ‘사랑하고 자랑스러운 가천의 아들, 딸들에게’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해당 글에서 이 총장은 “1998년 가천의대 1회 입학식에서 만난 학생들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소중했던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며 “환자를 가슴으로 치료하는 의사를 키우고 싶었다”고 전했다.

이어서 그는 “지금 길을 잃고 고뇌하고 있을 여러분을 생각하면 너무 안타깝고 가슴이 미어진다”고 이야기했다.
또 그는 “저는 6·25 전쟁 속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다. 피란지였던 부산 전시연합대학에 전국 의대생이 모여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며 과거를 회상했다.
이 총장은 “나와 함께 공부하던 남학생들 대부분이 학도병으로 나가 돌아오지 못했다”며 “나는 그들에게 빚을 졌으니, 그들 몫까지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다짐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정말 치열하게 공부해서 의사가 됐다. 나 혼자만의 노력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전했다.

이 총장은 “의사라는 직업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므로 정말 숭고한 직업이다”라며 “선망의 대상인 동시에 사회의 존경과 사랑을 받지만 무거운 사회적 책임 또한 뒤따른다. 여러분은 그 숭고한 길을 택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서 그는 “지금의 상황이 무척 혼란스럽고 고통스럽겠지만, 6·25 전쟁 당시 포탄이 날아드는 교실에서도, 엄중한 코로나 방역 상황에서도 우리는 책을 놓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 어떤 상황에서도 배움을 멈춰서는 안 된다”고 역설한 이 총장은 “이번 사태는 정부와 의료계 선배들이 지혜를 모아 최선의 결과를 도출해낼 것”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여러분은 학업이라는 본분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이 총장은 “하루라도 빨리 강의실로 돌아와 학업을 이어가기 바란다. 여러분이 강의실로 돌아올 때 하루하루 노심초사하며 절망하는 환자와 그 가족, 국민 모두가 작은 희망을 품게 될 것”이라는 말로 글을 마무리했다.

이 총장의 진심어린 편지를 접한 누리꾼들은 “지당하신 말씀이다. 의사라는 직업의 길에는 사회적 책임이 따른다”, “학생들까지 집단행동에 참여하고 있는 지금의 상황이 안타깝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가천대학교는 지난 2월 말 개강 예정이었지만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학생들의 수업 거부를 우려해 개강을 지난달 25일로 미뤘다.
학생들의 수업 거부가 현실이 되자 지난 1일로 개강일을 또 늦췄지만, 결국 수업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로 인해 가천대에서는 현재 출석 확인을 따로 하지 않는 방식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의사라는 직업은 일반인들의 일반직없과동일시해서는안되는 의사아니야 일반근로자와 같은단순한 노동자가 아니잔아 천벌을밭을것이다
이길녀씨 후배들에게 부끄럽지 않나
전쟁통에도 공부 했다고 지금은
전쟁통보다 더한 상황임을 인식 못하나
죽을때 빈손으로 가는데 호주머니에 돈 그만 챙겨
어서돌아오오
이길여총장님 말씀 지당한 말씀이며 가슴에 와 닿습니다 모두 자신의 본분에 충실하고 어려운 문제는 서로 협의하여 차츰 풀어나가길 바랍니다
1군 종합병원에서 오른쪽 발목을 수술받을 입장 이었는데 멀쩡한 왼쪽 발목에 소독약을 바르길래 왜 그쪽을 바르냐고 오른쪽 다리를 수술 할거라고 지적한적이 있었다.
개념없이 일 하는 의사들 많다.
왼쪽다리 검사해야하는데 자꾸 오른쪽다리 검사하려는 의사가 있었다..
우리는 유신말기 광주 때 남들 노는 방학에 공부했다 지금이라도 의대증원 철회하면 의대생들 돌아와 방학에 공부할거다 의대증원 철폐가 답이다
2000을 집착하는 윤가정부나 밥그릇 걱정하는 의사집단이나…
대학총장쯤이면 대안이나 협상안을 제시해야지
뻔한 말씀 말고
국민의 목숨을담보로 ㅠㅠ 개탄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