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이라던 전기차
충전 비용 인상, 부족한 충전소 등 단점 여전
전문 정비 인력 부족도 문제
전기차의 보급률은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나, 초기에 여겨졌던 편리하고 경제적인 장점 대신 점점 더 단점이 부각되고 있다.
충전 인프라는 확대되고 있으나, 내연기관 자동차의 주유 편의성에는 미치지 못하고, 충전 비용의 상승으로 경제적인 장점도 줄어들고 있다.
또한 전기차의 사고나 고장 시 수리가 필요할 경우, 수리 시간과 비용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드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전문 수리 인력의 부족과 수리의 복잡성 때문이다.
최신 전기차는 400V에서 800V의 고전압 시스템을 사용하므로, 전기차 수리 전문가가 아닌 경우에는 수리 중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잘못된 조치는 감전 사고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전문 장비와 훈련 없이 소화하기가 매우 어렵다. 더불어, 전기차의 복잡한 와이어링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원인 파악이 쉽지 않다.
전기차 차주는 한숨..
전기차 전문 정비 장비는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다. 유럽에서 자동차 정비소가 전용 장비 확보에 약 3만 유로(한화 약 4,285만 원)가 든다. 그러나 장비가 있어도 전문 인력이 없다면 의미가 없다.
미국 통계청의 데이터에 따르면, 2031년까지 전기차 정비 전문 인력 약 8만 명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비교적 작은 시장을 지닌 호주는 2030년까지 9천 명, 영국은 2032년까지 2만 5천 명의 전문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테슬라는 자체적으로 전문 수리 인력을 키우는 데 주력하고 있고, 지멘스(Siemens)는 관련 교육에 3천만 달러(약 400억 원)를 투자했다.
IMI는 전기차 수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금을 영국 정부에 요청했고, 현대차는 전기차 정비 전문가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한편, 중고 전기차 가격은 지난 5월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대비 6개월 동안 17% 하락했다.
이전에는 중고 전기차가 신차보다 비싸게 거래되는 역전 현상을 보이기도 했는데, 이는 신차 전기차의 출고 대기 기간 때문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신차 공급이 원활해지고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중고 전기차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전기차 장점 차고넘칩니다. 괜한 심술로 혼란스럽게 하지맙시다.
특히, 자동차 상식 부족하신 여성오너들 배터리 충전만 확인하면 만사OK 입니다. 잔고장 날게 전혀 없고 필요할때 윈도브러시액 정도 보충해주는 정도…
기아가 없어서 아빠한테 물어보니 핸들에 기아가 있는 차도 있군아
이 차가 그런가 보네 기아가 없어서 신기하게 보고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