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신경도 안 쓰더니”… 기아, 결국 내린 눈물의 결단에 ‘깜짝’

기아, EV6로 가격 승부수
BYD, 한국 전기차 시장 공략
치열한 주도권 싸움 예고
기아 BYD 경쟁 심화
EV6 / 출처: 기아

“중국차가 이 정도라니, 국내 차 밀리는 거 아닌가 걱정된다.”, “EV6 가격 내린 건 좋은데, BYD가 무섭긴 하네.”

기아가 전용 전기차 EV6 스탠다드 모델을 재출시하며 전기차 시장의 가성비 경쟁에 불을 지폈다.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의 국내 진출로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기아는 EV6 스탠다드를 앞세워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고 점유율 방어에 나섰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EV6, 가격은 낮추고 실용성은 높였다

EV6 스탠다드는 62.9kWh 배터리를 탑재해 최대 382km의 주행거리를 제공하며, 롱레인지 모델 대비 배터리 용량은 줄였지만 가격은 약 400만 원 낮춘 4,660만 원부터 시작한다.

기아 BYD 경쟁 심화
EV6 / 출처: 기아

정부 보조금을 적용하면 3천만 원대 후반으로 구매가 가능해, 도심형 전기차로 적합한 대안이 될 전망이다.

동력 성능은 최고출력 170마력, 최대토크 35.7kg.m로 롱레인지 모델보다 낮지만, 800V 초고속 충전 시스템 등 핵심 사양은 유지해 실용성과 효율성을 강조했다.

BYD, 3종 전기차로 한국 공략 시동

한편, BYD는 16일 브랜드 출범식을 열고 소형 전기 SUV 아토 3(ATTO 3), 퍼포먼스 세단 씰(SEAL), SUV 씨라이언 7(SEALION 7)까지 세 가지 모델을 올해 국내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아토 3는 이미 전 세계 누적 판매량 100만 대를 기록한 글로벌 인기 모델로, 321km 주행거리와 3,150만 원부터 시작하는 가격 경쟁력을 앞세웠다. 여기에 한국 특화 서비스를 추가해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기아 BYD 경쟁 심화
씰 / 출처: BYD

특히 EV6와 직접적인 경쟁 구도가 예상되는 모델은 하반기 출시될 BYD 씰이다.

세계 최초로 CTB(셀투바디) 기술을 적용한 씰은 공기저항 계수 0.219Cd를 바탕으로 최대 570km 주행이 가능하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 시간은 3.8초(사륜구동 기준)에 불과한 고성능 모델이다.

기아 EV6와 유사한 세그먼트에서 첨단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 것으로 보인다.

BYD 성공 시 국내 업계 위기감 고조

가격을 낮추면서도 주요 사양을 유지한 EV6 스탠다드는 중국 전기차의 공세 속에서 국내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지키기 위한 카드다.

기아 BYD 경쟁 심화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하지만 BYD가 아토 3와 씰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킬 경우, 국내 완성차 업계에 미치는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올해 한국 전기차 시장은 기아와 BYD가 가격, 기술, 브랜드 신뢰도를 둘러싸고 벌이는 치열한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52

  1. 살아 남으려면 중공에 아부 아양 떠는것들 척결 하라!미국과 결을 같이 해야 대한민국이 살아 남을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