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국내 첫 LPG 하이브리드 차량 개발
- 연비 높고 배출가스 낮춘 기술
- 르노와 대한LPG협회 협약 체결
르노코리아와 대한LPG협회는 국내 첫 LPG 풀 하이브리드 차량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 4세대 LPDi 엔진과 E-Tech 하이브리드 시스템 결합
- 연비는 높이고 배출가스는 낮춘 성능
-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갖춘 차량
- 유럽에서는 다치아가 이미 상용화에 성공
르노코리아와 대한LPG협회는 LPG 직분사 하이브리드 차량 양산을 위해 협약을 맺었습니다.
이 차량은 휘발유보다 연료비가 저렴한 LPG를 사용하면서도 하이브리드 기술을 적용하여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 시제 차량은 북미 SULEV30 초저배출 기준 통과
- 기존 가솔린 하이브리드보다 연비 우수
- 르노의 LPG 기술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
- 유럽의 다치아는 이미 LPG 하이브리드 SUV를 출시, 1,500km 주행거리 확보
- 자동으로 2WD와 4WD 전환 가능, 다양한 주행 모드 지원
- 소비자에게 연비, 주행거리, 유지비 측면에서 매력적인 대안 제공
국내 첫 LPG 하이브리드 개발 착수
연비는 높이고 배출가스는 낮췄다
다치아는 1,500km 주행거리 실현

휘발유보다 연료비가 저렴한 LPG에, 하이브리드 기술을 더한 국내 첫 LPG 풀 하이브리드 차량이 현실화된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LPG 하이브리드가 대세가 될까?
전기차보다 인프라 부담이 적고, 기존 LPG 차량보다 더 친환경적인 이 기술은 새로운 ‘실속형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첫 ‘LPG 풀 하이브리드’ 개발 시동

르노코리아와 대한LPG협회는 지난 5일, 서울 강남 르노코리아 서울사무소에서 LPG 직분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양산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핵심은 4세대 LPDi(직분사) 엔진에 르노의 E-Tech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결합하는 것이다. 시제 차량은 이미 북미의 초저배출기준 SULEV30을 통과했고, 기존 가솔린 하이브리드보다 연비는 높고 배출가스는 낮은 성능을 입증했다.
이와 관련해 이호중 대한LPG협회 회장은 “이번 모델은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차량”이라며
“운전자 만족도는 물론, 대기질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료비 낮추고, 주행거리는 늘리고
💡 LPG 하이브리드 차량이란 무엇인가요?
LPG 하이브리드 차량은 LPG와 하이브리드 기술을 결합한 차량으로, 연료비 절감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 LPG: 액화석유가스로, 휘발유보다 저렴한 연료
- 하이브리드 시스템: 엔진과 전기 모터를 조합하여 연비를 높이고 배출가스를 줄임
- 경제적 유지비와 긴 주행거리가 주요 장점

르노코리아는 이미 LPG 기술 개발 경험이 있다. 2014년 도넛탱크 방식의 SM5 LPLi를 시작으로, 2019년엔 정숙성과 안전성을 높인 QM6 LPe를 통해 LPG SUV 대중화를 선도한 바 있다.
이번에는 한 단계 더 나아가, LPG 하이브리드라는 새로운 세그먼트에 도전한다.
국내 시장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상용화 시 운전자들은 연료비 절감과 주행 효율이라는 두 가지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유럽은 한발 앞섰다…다치아 ‘LPG 하이브리드 SUV’ 공개

한편 르노그룹 산하 브랜드 다치아(Dacia)는 세계 최초로 LPG 하이브리드의 상용화에 성공했다.
최근 공개된 ‘하이브리드-G 150 4×4’는 LPG·가솔린 이중연료에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결합하고, 전후륜에 각각 엔진과 전기모터를 배치해 총 154마력의 출력을 발휘한다.
연료 구성도 놀랍다. 50리터 LPG, 50리터 가솔린 탱크를 동시에 장착해 WLTP 기준 최대 1,500km 주행거리를 확보했다. 이는 동급 모델 대비 압도적인 수치로 연료비는 기존 모델 대비 30% 절감 가능하며, CO₂ 배출량도 20g 줄었다.
주행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2WD와 4WD를 전환하고, 눈길·모래·암석 등 다양한 노면에 맞춘 주행 모드도 지원된다. 도심에서는 최대 60%까지 순수 전기 주행이 가능하다.
LPG 하이브리드는 단순히 ‘새로운 차’가 아니라, 자동차 연비와 환경 사이의 타협점을 찾아가는 실질적인 해답이 될 수 있다.
연비와 주행거리, 유지비까지 따지는 소비자들에게 이 차량은 조용히 큰 존재감으로 다가올지 모른다.
ㅇㅇ
LPG발전기돌려서 배터리 충전하는 전기차 만들면 안되냐?
로턴에서 만들고 있는거 아니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