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한국서 전기차 판매 시작
소형 SUV 아토3, 가격 경쟁력 주목
안전·보안 논란 속 시장 확대 우려

“중국차가 이렇게 빠르게 들어오다니, 믿을만할까?”, “가격은 괜찮아 보이는데, 보안은 좀 불안하네.”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가 한국 승용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다양한 논란과 기대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가격 승부수 띄운 BYD, 품질로 신뢰 얻을까?
지난 16일 인천에서 개최된 브랜드 출범 행사에서 BYD는 소형 전기 SUV ‘아토3’를 공개하며 공식 판매를 시작했다.
보조금 적용 전 기준 3150만 원대부터 책정된 이 차량은 정부 지원을 고려하면 2000만 원대 후반에도 구매가 가능해, 국내 경쟁 모델 대비 가격 우위를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지에서 개발한 블레이드 배터리를 채택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회사 측은 높은 안정성과 효율을 동시에 실현했다고 주장하지만, 일부 국내 전문가들은 “실험실 위주의 결과일 수 있다”며 신중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도로 환경에서의 안전성과 성능이 입증되기 전까지는 아직 속단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커넥티드카의 이면, 데이터 보안 안전성 논란
데이터 보안 문제도 쟁점이다. BYD를 포함한 상당수 전기차가 주행 정보를 서버와 연결하는 ‘커넥티드카’ 형태를 띠는 만큼, 민감한 개인정보가 해외 본사로 유출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온다.

BYD코리아 측은 “국내 서버를 우선적으로 이용한다”고 강조했으나, 구체적인 차단 장치가 어느 정도 갖춰졌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보조금 정책도 도마에 올랐다. 과거 중국 정부가 외산차를 의도적으로 배제한 보조금 차별 사례가 있었음에도, 한국은 중국산 전기차에도 동일한 지원을 적용해 형평성 논란이 불거지는 상황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해외 제조사가 국내에서 일자리나 협력 생태계를 어느 정도 창출할 수 있는지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빠르게 확대되는 중국산 전기차, 신뢰가 열쇠
그럼에도 중국산 전기차의 한국 시장 영향력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수입차 중 중국 브랜드 또는 중국 공장 생산분의 판매량은 3만 대를 넘어서며 큰 폭으로 늘어났다.

BYD는 이번 진출을 계기로 아토3 외에도 중형 전기 세단과 SUV 모델을 잇따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장 설립 등 현지 생산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결국 관건은 제품 자체가 가진 경쟁력과 이를 둘러싼 우려를 얼마나 해소하느냐다.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BYD가 국내 소비자들의 신뢰까지 얻을 수 있을지, 전기차 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주목되고 있다.
글쎄 좀두고보다가 사면 어떨까.비슷한 가격대 국산으로
개임정보 약관 보면 아주 가관이던데 차을 판후에도 내정보를 보관 할 수 있다는 내용이 야관에 이ㅛ던데 다 털리게ㅛ군…
국산차 잘나오는데 굳이 중국차를 홍보할 필요가 있을까? 아차차 이짜이밍이 친중이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