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최장 거리 신기록” …천조국이 개발한 압도적 ‘비밀 무기’, 중국·러시아 이제 어쩌나?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미국 AIM-120 미사일 사거리 연장
  • 중국의 미사일 기술 발전
  • 한국의 미사일 전력 보강 필요

미국과 중국의 공대공 미사일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미국은 AIM-120 미사일의 사거리를 연장했다.
  • 중국은 PL-15 등으로 서방을 위협하고 있다.
  • 한국도 KF-21 무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은 AIM-120 미사일의 사거리 기록을 경신하며 공대공 전력 강화에 나섰다.

중국의 미사일 기술 발전이 서방 세력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레이시온은 AIM-120의 최장 거리 사격 기록을 발표했다.
  • 중국은 PL-15, PL-16 등으로 공대공 미사일의 성능을 강화했다.
  • 한국은 KF-21의 중장거리 미사일 전력 보강이 필요하다.
공대공 미사일의 사거리 강화
중국의 공대공 교전 능력 대비
한국도 미사일 전력 보강 필요
AIM-120
AIM-120 / 출처 : 레이시온

세계 최고의 군사력을 자랑하는 미국이 이번에는 F-22 랩터에서 AIM-120 암람의 최장 거리 사격에 성공했다.

AIM-120 암람은 대다수의 자유 진영 국가가 사용하는 미국제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이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미사일 성능이 발전하면서 이제 더는 AIM-120의 사거리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어 온 무기 체계다.

사거리 연장에 성공한 주력 미사일

AIM-120
AIM-120 / 출처 : 레이시온

미국 방산 기업 레이시온은 공식 발표를 통해 AIM-120이 최장 거리 사격 기록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수치의 사거리를 달성했는지는 언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AIM-120D의 사거리가 160km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롭게 기록을 경신한 AIM-120 모델은 최소 100km대 후반에서 200km에 근접하는 사거리를 구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기록을 경신한 AIM-120은 미 공군용으로 개발된 F3R이며, AIM-120 F3R은 후속 공대공 미사일이 개발되기 전까지 미 공군의 주력 무장 체계로 활용될 예정이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AIM-120 기록 경신, 미사일 경쟁에서 우위일까?

이외에도 미국은 최대 사거리가 300km 수준으로 추정되는 AIM-260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 해군 항공대에서는 SM-6 함대공 미사일을 개량해 사거리 480km를 보유한 AIM-174B를 시험하는 등 다각도로 공중 전력의 사거리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200km 거리에서 유럽 전투기 격추

AIM-120
AIM-120 / 출처 : 레이시온

미국이 이처럼 공대공 미사일의 사거리를 확장하려는 이유는 중국을 상대로 시계 외 교전에서 우위를 놓치지 않으려는 것이다. 최근 중국은 미사일 기술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면서 서방을 위협할 수준의 공대공 미사일을 보유하기 시작했다.

일례로 인도-파키스탄 분쟁 당시 인도 정보 당국은 파키스탄이 보유한 중국제 PL-15 공대공 미사일의 사거리를 150km 수준으로 추정했다.

이에 인도 공군 조종사들은 적기와의 거리가 150km 이상 떨어져 있으면 미사일 사거리 밖에 있다고 안심했으나 실제로는 200km 거리에서 날아온 미사일에 피격당해 격추되었다.

AIM-120
AIM-120 / 출처 : 레이시온

또한 중국은 PL-15와 성능 수준은 대등하면서도 크기를 줄인 PL-16 미사일도 제작하고 있다. PL-16은 중국의 5세대 전투기 J-20에 6발을 탑재할 수 있는데 이는 4발만 탑재할 수 있던 PL-15보다 2발이나 늘어난 수치다.

이처럼 중국이 공대공 미사일의 성능을 강화하자 미국도 이에 대응할 신규 전력 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AIM-120 미사일의 새로운 사거리는 얼마인가요?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새로운 AIM-120 모델은 최소 100km대 후반에서 200km에 근접하는 사거리를 구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이전 AIM-120D의 사거리는 약 160km였습니다.
  • AIM-120 F3R은 미 공군의 주력 무장 체계로 사용됩니다.

한국도 시급한 미사일 전력 보강

KF-21
KF-21 / 출처 : KAI

이처럼 미국과 중국이 공대공 미사일의 사거리 경쟁을 펼치는 상황에서 한국도 서둘러 KF-21 공대공 무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KF-21의 중장거리 미사일은 MBDA가 개발한 미티어다. 미티어는 덕티드 렘제트 기술을 활용해 추정 사거리가 약 300km 수준에 이른다.

그러나 문제는 한국이 초도 물량으로 도입하는 미티어가 100발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또한 KF-21에는 AIM-120 암람의 통합이 아직 이뤄지지 않아 시계 외 교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금에 안주해선 안 된다.

여기에 한국은 자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2030년대 중후반까지 중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하려 하는 만큼 주변국의 군사적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고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AIM-120 기록 경신, 미사일 경쟁에서 우위일까?
우위에 있다 70% 우위에 있지 않다 30% (총 10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