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면 K-9에겐 식은 죽 먹기” …美 육군 문서 공개되자 ‘시선 집중’, 한국 방산 새 신화 쓰나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한국 K-9 자주포, 미 육군 사업 도전
  • 미군 요구: 사거리 70km, 발사 속도 분당 6발
  • 현지 생산 필수

한국의 K-9 자주포가 미 육군의 차기 자주포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미 육군은 자주포의 사거리와 발사 속도를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 K-9 자주포는 사거리와 발사 속도에서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큽니다.
  • 정밀 유도 포탄 탑재와 현지 생산이 필수입니다.

한국이 미 육군의 차기 자주포 사업에 도전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성능 요구 조건이 알려졌습니다.

미 육군은 자주포의 사거리와 발사 속도, 정밀 유도 포탄 탑재, 현지 생산 등을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 무유도탄 사용 시 58km, 유도 포탄 사용 시 70km의 사거리를 요구합니다.
  • K-9 자주포는 무유도탄 기준을 충족하며, 유도 포탄 성능 개선 필요성이 있습니다.
  • 미 육군은 지속 발사 속도 분당 6발을 요구하며, K-9A2는 이를 만족합니다.
  • 정밀 유도 포탄 M982 엑스칼리버의 탑재도 요구됩니다.
  • 현지 생산은 필수 조건이며, K-9 자주포의 미국 진출에 중대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미 육군의 자주포 기준 확인
사거리와 발사 속도 등 명시
현지 생산 요구 충족이 관건
K-9 자주포
K-9 자주포 키비주얼 / 출처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이 미 육군의 차기 자주포 사업에 도전장을 던진 가운데 해외 군사 매체를 통해 미군이 요구하는 자주포의 구체적인 요구 조건이 알려졌다.

최근 해외 군사 매체 MILITARNYI는 Breaking Defense 등의 보도 자료를 인용해 이 같은 소식을 전했으며 한국의 K-9 자주포가 미국 진출에 성공할지 기대가 모이고 있다.

최대 사거리와 분당 발사 속도 관건

K-9 자주포
K-9 자주포 / 출처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외신을 통해 알려진 미 육군의 자주포 요구 성능을 살펴보면 먼저 사거리는 무유도탄 사용 시 58km, 유도 포탄 사용 시 70km를 달성해야 한다.

현재 한국의 K-9 자주포는 최신형 포탄인 K333을 사용하면 약 60km 수준의 사거리를 확보한 상황이며, 미국 측에 제시할 차륜형 K-9에는 기존보다 길어진 58구경장 포신을 탑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만큼 사거리 기준은 어렵지 않게 충족할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유도 포탄의 경우 지난해 진행한 시험 발사에서 K-9이 50km의 표적을 명중시킨 기록을 보유하였으나 그 이상의 기록은 존재하지 않아 해당 요소가 관건이 될 수 있다.

K-9 자주포
K-9 자주포 / 출처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또한 미 육군은 무유도탄 사용 시 분당 6발의 지속 발사 속도를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한국은 K-9A2를 통해 최고 발사 속도 분당 10발, 지속 발사 속도 분당 6발을 달성해 해당 기준 역시 충분히 충족할 수 있다.

💡 미 육군이 요구하는 자주포의 성능 기준은 무엇인가요?

미 육군은 자주포에 대해 여러 성능 기준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사거리: 무유도탄은 58km, 유도 포탄은 70km를 달성해야 합니다.
  • 발사 속도: 무유도탄 사용 시 분당 6발의 지속 발사 속도를 요구합니다.
  • 정밀 유도 포탄: M982 엑스칼리버 등 3발 이상의 정밀 유도 포탄을 탑재해야 합니다.
  • 현지 생산: 미국 내에서의 현지 생산이 필수입니다.

3발 이상의 정밀 유도 포탄 탑재

K-9 자주포
K-9 자주포 / 출처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국이 요구한 차기 자주포의 조건 중에는 M982 엑스칼리버 등 정밀 유도 포탄을 3발 이상 탑재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M982 엑스칼리버는 GPS와 INS를 사용하여 포탄을 표적에서 10m 이내에 착탄 시킬 수 있게 만든 정밀 유도 포탄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선 전자전 공격을 통한 GPS 교란으로 인해 명중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식별되기도 했지만 한때 이라크 전쟁에선 92%의 명중률을 자랑하기도 했다.

한국은 지난해 4월 미국에서 진행한 엑스칼리버 발사 시험에서 50km 거리에 떨어진 표적을 1m 미만의 원형 공산 오차로 명중하며 완벽한 호환성 입증에 성공한 만큼 정밀 유도 포탄의 탑재는 큰 어려움이 없을 전망이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한국 K-9 자주포의 미국 진출, 성공할까?

현지 생산도 미 육군의 주요 기준

K-9 자주포
K-9 자주포 / 출처 : 대한민국 육군

미 육군의 자주포 도입 기준에는 현지 생산도 필수적인 요소로 포함되었다. 이에 미 육군의 차기 자주포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해당 조건을 반드시 충족해야 한다.

그동안 한국 방산은 현지 생산과 기술 이전 등 부수적인 계약 조건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왔으며 이것이 하나의 장점이 되기도 했으나 이번 경쟁에선 타 방산업체도 동일하게 해당 기준을 충족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미국은 현재 운용하고 있는 M109A7과 동급 이상의 방어 능력을 갖추면서도 하이마스 수준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동성과 항공·해상·철도를 통해 쉽게 운송할 수 있는 능력 등을 요구하고 있다.

과연 한국의 K-9 자주포가 이러한 미국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고 새로운 방산 신화를 개척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한국 K-9 자주포의 미국 진출, 성공할까?
성공할 것이다 100% 실패할 것이다 0% (총 10표)

관심 집중 콘텐츠

타이거 장갑차

“중국 덕분에 쿠데타를 막았다?” …전 세계를 놀라게 한 ‘희대의 무기’, 정체가 뭐길래?

더보기
F/A-18E/F

“천억짜리 전투기에 무슨 짓을?” …영화 속 명품 전투기가 ‘설마’, 아찔한 상황에 ‘황당한 의혹’

더보기
K-2 전차

“폴란드도, 필리핀도 아니었다” …한국 방산의 다음은 바로 ‘이곳’, ‘초대박’ 냄새 맡아보니

더보기